미국 MBA (1) 썸네일형 리스트형 MBA에 대한 생각 최근 MBA 학위가 과거만큼 실효성이 없다는 얘기가 많습니다.하지만 MBA라고 하는 것은 개인이 커리어 관리를 목적으로 활용하는 하나의 수단인 만큼, 실효성 판단에는 개인 간 편차가 분명히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실효성 여부는 각자에게 맡기고, MBA 학위가 실제로 어떤 급여 상승효과를 창출하고 있는지 집계 가능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해당 데이터는 Financial Times의 Global MBA Ranking 2010부터 2020년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참고로 FT에서는 Global Top 100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고 한국의 경우 2011년은 카이스트, 2012~2020년은 성균관대학교, 2013년 고려대가 유일하게 순위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