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경제용어

64.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1)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영국의 경제주간지입니다 - 경제주간지이지만 비즈니스·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과학 분야의 비중도 높습니다. 세계 각국의 유명 CEO들이 필수적으로 구독하고 있는 잡지이고 지식인층을 주 타깃 고객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격조 높고 풍려한 문체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고급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적합하며 특히 GMAT RC 공부 시에도 자주 권해지고 있는 잡지입니다.

 

 

이토록 질 높은 기사를 접할 수 있는 주간지에서 경제학 용어 A to Z를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권위 있는 주간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용어인 만큼 상식으로 꼭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관련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양이 생각보다 많아 기초 용어는 제외하고 내용은 최대한 핵심만 요약해보겠습니다.

 

금일은 A, B, C 편입니다.

 

 


 

Absolute advantage (절대 우위)

If one person, firm or country can produce more of something with the same amount of effort and resources, they have an absolute advantage over other producers.

한 사람, 기업 또는 국가가 동일한 노력과 자원을 가지고 무엇인가를 더 생산할 수 있다면, 그들은 다른 생산자들에 비해서 절대 우위를 갖는 것이다.

The question of what to specialise in--and how to maximise the benefits from international trade--is best decided according to comparative advantage. Both absolute and comparative advantage may change significantly over time.

무엇을 전문적으로 할지, 그리고 국제무역으로부터 이익을 어떻게 극대화할지에 대한 문제는 비교우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절대 우위와 비교우위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

 

Adaptive expectations (적응적 기대)

A theory of how people form their views about the future that assumes they do so using past trends and the errors in their own earlier predictions. Contrast with rational expectations.

사람들이 과거 트렌드와 초기 예상의 오류들을 활용하여 미래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이론으로 합리적 기대와 상반된다.

 

Adverse selection (역선택)

When you do business with people you would be better off avoiding. This is one of two main sorts of market failure often associated with insurance. The other is moral hazard.

피하는 것이 오히려 더 나은 비즈니스 상황을 의미한다. 보험과 관련된 시장 실패 2가지 중 하나이고 또 다른 하나는 도덕적 위험이다.

When there is adverse selection, people who know they have a higher risk of claiming than the average of the group will buy the insurance, whereas those who have a below-average risk may decide it is too expensive to be worth buying.

역선택에 있을 때, 그룹 평균보다 청구 위험이 높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보험에 가입하는 반면, 그룹 평균보다 위험이 낮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보험이 매우 비싸서 가입할 가치가 없다고 결정할 수 있다.    

One way to reduce adverse selection is to make the purchase of insurance compulsory, so that those for whom insurance priced for average risk is unattractive are not able to opt out.

역선택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그래서 평균 위험에 대한 보험 가격이 매력적이지 않은 사람들에게 참여하지 않도록 선택을 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Agency costs (대리인 비용)

These can arise when somebody (the principal) hires somebody else (the agent) to carry out a task and the interests of the agent conflict with the interests of the principal. An example of such principal-agent problems come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holders who own a public company and the managers who run it.

대리인 비용은 누군가(본인) 다른 사람(대리인)을 고용하여 임무를 수행하게 하고 본인과 대리인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때 발생한다. 한 가지 예로 기업을 소유하고 있는 주주와 기업을 운영하는 경영자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One way to reduce agency costs is for the principal to monitor what the agent does to make sure it is what he has been hired to do. But this can be costly, too. It may be impossible to define the agent's job in a way that can be monitored effectively. 

대리인 비용을 절감하는 한 가지 방법은 대리인들이 채용된 목적에 따라 업무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대리인의 업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시할지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Another way to lower agency costs is to make the interests of the agent more like those of the principal. (스톡옵션에 대한 설명...) But even this is not a perfect solution. Some managers with lots of share options have engaged in accounting fraud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those options long enough for them to cash some of them in, but to the detriment of their firm and its other shareholders.

다른 방법은 대리인의 이해관계를 본인의 이해관계에 가깝게 만드는 것이다. (스톡옵션에 대한 설명...) 그러나 이마저도 완벽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스톡옵션을 많이 가진 몇몇 경영자들은 옵션 일부의 현금화를 위해 가치를 충분히 증가시키는 분식 회계에 빠지게 되고, 이는 회사와 주주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Animal spirits (야성적 충동)

According to Keynes, animal spirits are a particular sort of confidence, "naive optimism". He meant this in the sense that, for entrepreneurs in particular, "the thought of ultimate loss which often overtakes pioneers, as experience undoubtedly tells us and them, is put aside as a healthy man puts aside the expectation of death". Where these animal spirits come from is something of a mystery.

케인즈에 따르면, 야성적 충동은 특정 종류의 확신으로 순진한 낙관주의이다. 그는 특히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이것을 의미했는데, 경험이 의심할 여지없이 말해주듯이 개척자들은 종종 건강한 사람이 죽음에 대해 무시하듯 궁극적인 손실에 대한 생각을 무시한다. 과연 어디에서 양성적 충동이 나오는지는 미스터리다.

 

 

Antitrust (독점금지, 공정거래)

government policy for dealing with monopoly. Antitrust laws aim to stop abuses of market power by big companies and, sometimes, to prevent corporate mergers and acquisitions that would create or strengthen a monopolist.

독점에 대한 정부 정책이다. 독점금지법은 대기업의 시장지배력 남용을 방지하고, 때때로 독점기업을 만들거나 강화시키는 인수합병을 금지하는 목적을 가진다.

 

Arbitrage (차익거래)

Buying an asset in one market and simultaneously selling an identical asset in another market at a higher price. Sometimes these will be identical assets in different markets, for instance, shares in a company listed on both the London Stock Exchange and New York Stock Exchange.

하나의 시장에서 자산을 구입하고 동시에 다른 시장에 더 높은 가격으로 동일한 자산을 판매하는 것이다. 한 예로 런던 증권거래소와 뉴욕 증권거래소에 모두 상장된 회사의 주식과 같이 동일 자산이 다른 시장에 있을 수 있다.

 

Arbitrage pricing theory (차익거래가격결정이론)

This is one of two influential economic theories of how assets are priced in the financial markets. The other is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금융시장에서 자산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한 두 가지 영향력 있는 이론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이다. 

The arbitrage pricing theory says that the price of a financial asset reflects a few key risk factors, such as the expected rate of interest, and how the price of the asset changes relative to the price of a portfolio of assets.

차익거래가격결정이론에서 금융자산의 가격은 기대 이자율과 같은 몇 가지 주요 핵심 요소와 자산 포트 롤 리오 가격과 비교하여 자산의 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반영된다.

If the price of an asset happens to diverge from what the theory says it should be, arbitrage by investors should bring it back into line.

만약 자산 가격이 이론에서 벗어난다면, 투자자들의 차익거래가 시장을 원상 복귀시킬 것이다.

 

Asymmetric shock (비대칭적 충격)

When something unexpected happens that affects one economy (or part of an economy) more than the rest.

어떤 예기치 못한 일로 인해 단일 경제(또는 경제의 일부)가 다른 경제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경우를 말한다.

For instance, some economic areas may be oil exporters and thus highly dependent on the price of oil, but other areas are not. If the oil price plunges, the oil-dependent area would benefit from policies designed to boost demand that might be unsuited to the needs of the rest of the economy.

예를 들어, 일부 경제 지역은 석유 수출국이어서 유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만 다른 지역들은 아니다. 유가가 폭락한다면, 유가 의존도가 높은 지역은 다른 지역의 필요성은 맞지 않는 수요를 증폭시키는 정책으로 이득을 취할 수 있다.

 

Autarky (경제 자립 국가)

The idea that a country should be self-sufficient and not take part in international trade.

국가가 자립 자족하며 국제무역에 참여치 말아야 한다는 아이디어다.

No country has been able to produce the full range of goods demanded by its population at competitive prices.

어느 나라도 자국 인구가 필요로 하는 모든 방면의 상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생산할 수 없다.

Indeed, those that have tried to do so have condemned themselves to inefficiency and comparative poverty, compared with countries that engage in international trade.

실제로, 그렇게 시도한 국가들은 국제 무역에 참여한 국가와 비교하여 비효율성과 상대적 빈곤에 처하게 되었다.

 

 

Backwardation (역조시장)

When a commodity is valued more highly in a spot market (that is, when it is for delivery today) than in a futures market (for delivery at some point in the future).

현물(현재) 가격이 선물(미래) 가격보다 높은 경우를 뜻한다.

Normally, interest costs mean that futures prices are higher than spot prices, unless the markets expect the price of the commodity to fall over time, perhaps because there is a temporary bottleneck in supply. When spot prices are lower than futures prices it is known as contango.

일반적으로 이자 비용의 개념은 상품의 가격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떨어지지 않는 한 미래 가격이 현재 가격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아마도 이것은 공급에 병목현상이 일시적으로 있기 때문이다. 현물 가격이 선물 가격보다 낮은 경우는 콘탱고라고 한다.

 

Balance of payments (국제 수지)

The total of all the money coming into a country from abroad less all of the money going out of the country during the same period. This is usually broken down into the current account and the capital account.

한 국가에서 같은 기간 동안, 해외로 유출되는 모든 돈의 합을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모든 돈의 합에서 뺀 것이다. 보통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나뉜다.

 

Balanced budget (균형예산)

When total public-sector spending equals total government income during the same period from taxes and charges for public services.

같은 기간 공공 부분의 총지출액이 정부 총수입과 같을 경우를 말한다.

 

Barter (물물교환)

Paying for goods or services with other goods or services, instead of with money. It is often popular when the quality of money is low or uncertain, perhaps because of high inflation or counterfeiting, or when people are asset-rich but cash-poor, or when taxation or extortion by criminals is high.

상품이나 서비스를 돈 대신 다른 상품 또는 서비스로 지불하는 것이다. 이는 아마도 높은 인플레이션과 화폐 위조가 발생할 때 또는 사람들이 자산은 많은데 현금이 없는 경우 또는 범죄자들에 의한 과세나 강탈이 높아 돈의 가치가 낮거나 불확실할 경우 발생한다.

 

Basis point (베이시스 포인트)

One one-hundredth of a percentage point. Small movements in the interest rate, the exchange rate and bond yields are often described in terms of basis points. If a bond yield moves from 5.25% to 5.45%, it has risen by 20 basis points.

100분의 1 퍼센트 포인트를 의미하고 금리, 환율, 채권수익률의 작은 움직임은 종종 베이시스 포인트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채권수익률이 5.25퍼센트에서 5.45퍼센트로 올랐다면, 그것은 20 베이시스 포인트가 올라간 것이다.

 

Bear (베어)

An investor who thinks that the price of a particular security or class of securities (shares, say) is going to fall; the opposite of a bull.

특정 증권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을 뜻한다. 반대말은 Bull(불)이다.

 

 

Beta (베타)

Part of an economic theory for valuing financial securities and calculating the cost of capital, known as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beta measures the sensitivity of the price of a particular asset to changes in the market as a whole.

자본자산결정모형으로 알려진 금융 증권의 가치평가와 자본비용을 계산하는데 활용되는 개념이다. 베타는 전체 시장의 변화에 대한 특정 자산 가격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If a company's shares have a beta of 0.8 it implies that on average the share price will change by 0.8% if there is a 1% change in the market.

한 기업의 주가가 0.8 베타를 가지고 있다면, 이것은 시장이 1% 변동할 때, 평균적으로 주가가 0.8% 변동하는 것을 암시한다.

There is a long-running debate about whether a beta calculated from a security's past relationship with the market actually predicts how that relationship will behave in future, leading some doubting economists to claim that beta is "dead".

증권과 시장의 과거 관계로부터 계산된 베타가 실제로 미래를 예측하는데 적정한지에 대해서는 오랜 논쟁이 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베타가 죽었다고 주장한다.

 

Black economy (지하경제)

If you pay your cleaner or builder in cash, or for some reason neglect to tell the taxman that you were paid for a service rendered, you participate in the black or underground economy. Such transactions do not normally show up in the figures for GDP, so the black economy may mean that a country is much richer than the official data sugges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K, the black economy adds an estimated 5-10% to GDP; in Italy, it may add 30%. As for Russia, in the late 1990s estimates of the black economy ranged as high as 50% of GDP.

만약 당신이 청소부나 건설업자에게 서비스를 받은 것을 현금으로 지불하고 어떤 이유로 인해 세무사에게 알리는 것을 등한시한다면 당신은 지하경제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래는 일반적으로 GDP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지하경제를 포함하면 한 국가가 제시하는 공식 데이터보다 훨씬 더 부유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GDP의 5~10%, 이탈리아는 30%로 예측되며, 1990년 후반의 러시아의 지하경제는 GDP의 50% 달했던 것으로 예측된다.

 

Bounded rationality (제한적 합리성)

A theory of human decision making that assumes that people behave rationally, but only within the limits of the information available to them. Because their information may be inadequate (bounded) they make take decisions that appear to be irrational according to traditional theories about homo economicus (economic man).

사람들은 합리적이나 오직 그들에게 제공되는 정보에 한하여 행동한다고 가정하는 의사결정 이론이다. 그들의 정보가 제한적임으로 그들은 homo economicus에 대한 고전적 이론에 따라서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결정을 한다.

 

Bull (불)

An investor who expects the price of a particular security to rise; the opposite of a bear.

특정 증권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들을 뜻한다. 반대말은 Bear(베어)이다.

 

Business confidence

How the people who run companies feel about their organisations' prospects. In many countries, surveys measure average business confidence. These can provide useful signs about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conomy, because companies often have information about consumer demand sooner than government statisticians do.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들이 조직 전망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많은 국가에서는 설문들을 통해 평균 Business confidence를 측정한다. 이 설문들은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유용한 징후들을 제공할 수 있는데, 기업들이 종종 정부 통계학자보다 더 빨리 소비자 수요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Buyer's market (구매자시장)

A market in which supply seems plentiful and prices seem low; the opposite of a seller's market.

공급이 풍부하고 가격이 낮아 보이는 시장을 의미한다. 반대말은 판매자시장이다.

 

 

Cannibalise

FIRMS used to be reluctant to launch new products and SERVICES that competed with what they were already doing, as the new thing would eat into (cannibalise) their existing business.

회사들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출시되면 기존 사업과 경쟁해서 그들 사업 스스로를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출시하는 것을 꺼려했다.

In today's innovative, technology-intensive economy, however, a willingness to cannibalise is more often seen as a good thing. This is because INNOVATION often takes the form of what economists call creative destruction, in which a superior new product destroys the market for existing products. In this environment, the best course of action for successful firms that want to avoid losing their market to a rival with an innovation may be to carry out the creative destruction themselves.

그러나 오늘날의 혁신적이고 기술집약적 경제에서는 cannibalise를 하는 의지가 흔히 좋은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혁신은 종종 경제학자들이 부르는 창조적 파괴의 형태(우수한 신제품이 기존 상품을 파괴하는)를 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혁신성을 갖춘 경쟁기업에게 시장을 뺏기는 것을 피하고 싶은 성공적인 기업들의 최적의 행동 방침은 스스로 창조적 파괴를 실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Capital adequacy ratio (자기자본비율)

The ratio of a BANK’s CAPITAL to its total ASSETS, required by regulators to be above a minimum (“adequate”) level so that there is little RISK of the bank going bust. How high this minimum level is may vary according to how risky a bank’s activities are.

은행의 총 자산 대비 자본 비율을 의미하며, 은행은 파산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규제당국에 의해서 최소 수준을 초과해야 한다. 이 최소 수준이 얼마나 높을지는 은행의 활동이 얼마나 위험한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Capital asset pricing model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A method of valuing ASSETS and calculating the COST OF CAPITAL.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has come to dominate modern finance.

자산을 평가하고 자본 비용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은 현재 금융 이론을 지배하고 있다.

The rationale of the CAPM can be simplified as follows. Investors can eliminate some sorts of RISK, known as RESIDUAL RISK or alpha, by holding a diversified portfolio of assets.

CAPM의 근거는 다음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다양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잔존위험 또는 알파라고 불리는 일종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Assuming investors diversify away alpha risks, how an investor values any particular asset should depend crucially on how much the asset's PRICE is affected by the risk of the market as a whole. The market's risk contribution is captured by a measure of relative volatility, BETA, which ­indicates how much an asset's price is expected to change when the overall market changes.

투자자들이 알파 위험을 분산한다고 가정할 때, 투자자들이 특정 자산을 어떻게 평가할지는 시장 전체 위험에 얼마나 자산의 가격이 영향을 받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시장 위험 기여도는 상대적 변동성 측정 지수인 베타(전체 시장이 변할 때 자산의 가격이 얼마나 변경될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알 수 있다.

Safe investments have a beta close to zero: economists call these assets risk free. Riskier investments, such as a share, should earn a premium over the risk-free rate. 

안전한 투자는 0에 가까운 베타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은 무위험자산이라고 불린다. 주식과 같은 위험한 투자는 무위험이자율을 넘어서는 프리미엄을 얻어야 한다. 

But does the CAPM work? It all comes down to beta, which some economists have found of dubious use. They think the CAPM may be an elegant theory that is no good in practice. Yet it is probably the best and certainly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calculating the cost of capital.

하지만 CAPM이 작동할까? 모든 것이 베타로 귀결되는데 일부 경제학자들은 베타의 미심쩍은 활용성으로 실제에 적용하기 힘든 멋들어지기만 한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CAPM은 자본 비용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아마도 가장 좋고 널리 사용되는 이론일 것이다.

 

Capital flight (자본도피)

When CAPITAL flows rapidly out of a country, usually because something happens which causes investors suddenly to lose confidence in its economy. This is often associated with a sharp fall in the EXCHANGE RATE of the abandoned country’s currency.

한 국가의 자본이 빠르게 빠져나갈 때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국가 경제가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었을 경우 발생한다. 이것은 종종 대상 국가 통화의 환율 급락과 종종 관련이 있다. 

 

 

Capital intensive (자본집약)

A production process that involves comparatively large amounts of CAPITAL; the opposite of LABOUR INTENSIVE.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자본을 포함하는 생산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반대말은 노동집약이다.

 

Cartel (카르텔)

An agreement among two or more FIRMS in the same industry to co-operate in fixing PRICES and/or carving up the market and restricting the amount of OUTPUT they produce. It is particularly common when there is an OLIGOPOLY. The aim of such collusion is to increase PROFIT by reducing COMPETITION. Identifying and breaking up cartel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mpetition policy overseen by ANTITRUST watchdogs in most countries, although proving the existence of a cartel is rarely easy, as firms are usually not so careless as to put agreements to collude on paper. 

동일한 업계에 있는 두개 이상의 기업이 가격을 고정하거나, 시장을 조각내거나, 생산량을 제한하는데 합의하는 경우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과점 시장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담합의 목적은 경쟁을 감소시켜 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카르텔을 식별하고 해체하는 것은 대부분 국가의 반독점 감시 기관이 모니터링하고 있는 경쟁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다. 대부분 기업들은 서류에 담합을 나타낼 정도로 부주의하지 않기 때문에 카르텔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이 쉽지 않다.

 

Catch-up effect (따라잡기 효과)

In any period, the economies of countries that start off poor generally grow faster than the economies of countries that start off rich. New technology may even allow DEVELOPING COUNTRIES to leap-frog over industrialised countries with older technology. This, at least, is the traditional economic theory.

어느기간이든, 가난한 국가들은 부유한 국가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새로운 기술은 심지어 개발도상국들이 오래된 기술을 가진 산업화된 국가를 뛰어넘게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적어도 전통적인 경제이론이다.

 

Ceteris paribus (나머지 조건이 동일하다면)

Economists use this Latin phrase to cover their backs. For example, they might say that “higher interest rates will lead to lower inflation, ceteris paribus”, which means that they will stand by their prediction about INFLATION only if nothing else changes apart from the rise in the INTEREST RATE.

경제학자들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해당 라틴 구절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나머지 조건이 동일하다면 다른 가정이 높은 금리가 인플레이션을 낮출 것이다라고 말 할수있다. 즉 다른 조건이 변동없고 이자율 상승만 있을 경우, 그들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을 고수할 것이다.

 

Command economy (명령경제)

When a GOVERNMENT controls all aspects of economic activity

정부가 모든 측면에서 경제 활동을 통제할 경우를 말한다.

 

Contagion (파급)

The domino effect, such as when economic problems in one country spread to another.

한 국가의 경제 문제가 다른 국가로 확산되는 도미노 효과를 뜻한다. 

 

Contestable market (경합시장)

A market in which an inefficient firm, or one earning excess profits, is likely to be driven out by a more efficient or less profitable rival. 

비효율적인 기업이나 초과이익을 얻는 기업이 좀 더 효율적이고 덜 수익성있는 경쟁기업에게 쫓겨날 수 있는 시장이다. 

 

Crowding out (크라우딩 아웃)

Excessive GOVERNMENT borrowing has been blamed for low private-sector borrowing and, consequently, low INVESTMENT and slower economic GROWTH

과도한 정부차입이 민간부문 차입을 낮추고 결국 낮은 투자와 느린 경제 성장의 원인이 된다는 개념이다.

 

 


와 양이 무척 많네요. 작성하는데 힘들었지만, 공부하는 셈치고 작성했습니다. 경제용어 개념 정리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