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경제용어

65.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2)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경제용어 정리 2탄입니다. D, E, F 편입니다. A, B, C 편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양이 생각보다 많아 기초 용어는 제외하고 내용은 최대한 핵심만 요약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1)

 


 

Deadweight cost/loss (자중손실)

The extent to which the value and impact of a tax, tax relief or SUBSIDY is reduced because of its side-effects. For instance, increasing the amount of tax levied on workers’ pay will lead some workers to stop working or work less, so reducing the amount of extra tax to be collected. However, creating a tax relief or subsidy to encourage people to buy life insurance would have a deadweight cost because people who would have bought insurance anyway would benefit.

세금, 세금 감면 또는 보조금의 가치와 영향이 부작용으로 인해 자체 감소되는 정도를 뜻한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급여에 세금을 더 부여한다면, 근로자들은 일을 하지 않거나 덜하게 되어 징수할 수 있는 세금이 줄어들게 된다. 사람들이 생명보험에 가입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세금 감면이나 보조금을 신설한다면 어차피 보험에 가입할 사람들이 혜택을 받기 때문에 자중손실이 발생한다.

 

Debt forgiveness (채무면제)

Cancelling or rescheduling a borrower's debts to lessen the pain of the DEBT burden. Debt forgiveness is increasingly viewed as the best way to relieve the financial problems facing poorer countries. 

채무 부담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차입자의 부채를 면제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채무면제는 가난한 국가들이 직면하는 재정 문제를  완화시키는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Debt forgiveness has potential drawbacks. For instance, there is a risk of MORAL HAZARD. If countries that borrow too much are let off their financial obligations, poor countries may feel they have nothing to lose by borrowing as much as they can. This is why policymakers often argue that debt forgiveness should come with a CONDITIONALITY clause, for instance, a requirement that countries have a track record of implementing economic reforms designed to prevent a repeat of the errors that first created the need for debt forgiveness.

채무면제는 잠재적인 결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도덕적 해이 위험이다. 많은 돈을 빌린 국가들이 재정 의무 면제를 받는다면, 가난한 국가들은 그들이 할 수 있는 한 많이 빌려도 손해 볼 것이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것이 정책입안자들이 채무면제에는 조건부 조항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예를 들어, 채무면제의 필요성을 있게 한 원인의 반복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경제 개혁의 이행 기록이 있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한 예이다.

 

Deregulation (규제 완화)

The process of removing legal or quasi-legal restrictions on the amount of COMPETITION, the sorts of business done, or the PRICES charged within a particular industry. 

경쟁, 사업의 종류, 또는 특정 산업에 부과되는 비용에 대한 법적·준법적 제한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Devaluation (평가절하)

A sudden fall in the value of a currency against other currencies. Strictly, devaluation refers only to sharp falls in a currency within a fixed EXCHANGE RATE system. Also it usually refers to a deliberate act of GOVERNMENT policy. Most studies of devaluation suggest that its beneficial effects on COMPETITIVENESS are only temporary.

다른 통화 대비 통화 가치의 급격한 하락을 의미하는데 엄격히 말하면 평가절하는 고정환율제도 안에서 통화가치의 급격한 하락을 말한다. 또한 보통 의도적인 정부 정책을 말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은 평가절하의 경쟁력으로 얻는 유익한 효과는 일시적이라고 말한다.

 

Diminishing returns (수확 체감)

The more you have, the smaller is the extra benefit you get from having even more; also known as diseconomies of scale. For instance, when workers have a lot of CAPITAL giving them a little more may not increase their PRODUCTIVITY anywhere near as much as would giving the same amount to workers who currently have little or no capital. This underpins the CATCH-UP EFFECT, whereby there is (supposedly) convergence between the rates of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ones.

많이 가질수록 얻는 추가 이익은 작아진다는 법칙으로 규모의 비경제로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자본을 가지고 있는 근로자에게 조금 더 주는 것이 같은 금액을 적은 자본을 가지고 있거나 자본이 없는 근로자에게 주는 것만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지는 못할 수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성장률이 융합되는 따라잡기 효과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Disintermediation (탈중개화)

Cutting out the middleman. Disintermediation has become a buzz word in financial services in particular, as competitive and technological changes have done away with the need for established intermediaries. BANKS have seen much of their business slip away, such as lending to companies that now tap CAPITAL MARKETS direct.

중개인이 없어지는 것이다. 탈중개화는 특히 금융서비스 안에서 유행어가 되었는데, 경쟁, 기술적 변화가 기존 중재인들의 필요성을 사라지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현재 기업들이 직접 자본시장을 활용하면서 대출과 같은 많은 사업들이 은행에서 사라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Dollarisation (달러화)

When a country's own MONEY is replaced as its citizens' preferred currency by the US dollar. This can be a deliberate GOVERNMENT policy or the result of many private choices by buyers and sellers. 

한 국가의 통화가 시민들이 선호하는 통화인 미국 달러로 대체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의 정부의 의도적인 정책일 수도 구매자와 판매자의 많은 사적인 선택의 결과일 수도 있다. 

The appeal of dollarisation is that the value of the dollar is more stable than the distrusted local currency. By eliminating all possible RISK of DEVALUATION against the dollar, the cost of local companies' and the government's borrowing in international markets is reduced, as the currency risk is removed. A big downside is that the country hands over control of MONETARY POLICY to the Federal Reserve, and the right INTEREST RATE for the United States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e dollarised country, if that country and the United States do not constitute an OPTIMAL CURRENCY AREA.

달러화의 매력은 신뢰도 낮은 지역 통화보다 달러의 가치가 더 안정적이라는 것이다. 달러 대비 평가절하의 모든 위험을 제거함으로써 통화 위험이 제거됨으로 국제 시장에서 기업과 정부의 차입 비용이 감소한다. 큰 단점은 국가의 통화 정책을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넘기는 것이고 미국과 달러화 된 국가가 최적통화지역을 구성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금리는 달러화 된 국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Dumping (덤핑)

Selling something for less than the cost of producing it. This may be used by a DOMINANT FIRM to attack rivals, a strategy known to ANTITRUST authorities as PREDATORY PRICING. Participants in international trade are often accused of dumping by domestic FIRMS charging more than rival IMPORTS. Countries can slap duties on cheap imports that they judge are being dumped in their markets. Often this amounts to thinly disguised PROTECTIONISM against more efficient foreign firms.

생산비용보다 더 싸게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지배적인 회사가 경쟁 회사를 공격할 때 사용되는 전략이며 독점금지 규제 기관에게는 약탈가격정책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무역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종종 해외 경쟁기업보다 비싸게 판매하는 로컬 기업에 의해서 덤핑으로 비난을 받는다. 국가들은 저렴한 수입품들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데, 이것은 종종 더 효율적인 외국 기업에 대한 얄팍하게 위장한 보호무역주의에 해당된다.

In practice, genuine predatory pricing is rare - certainly much rarer than anti-dumping actions - because it relies on the unlikely ability of a single producer to dominate a world market. In any case, consumers gain from lower PRICES; so do companies that can buy their supplies more cheaply abroad.

실제로, 진짜 약탈가격정책은 드물며 반덤핑 행동보다도 훨씬 드물다. 그 이유는 한 제조사가 세계 시장을 지배할 능력이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도 소비자들은 낮은 가격으로 이윤을 얻고 기업들도 해외로부터 더 싸게 공급품들을 살 수 있고 이윤을 얻는다.

 

 

Economic sanctions (경제제재)

A way of punishing errant countries, which is currently more acceptable than bombing or invading them. One or more restrictions are imposed on international trade with the targeted country in order to persuade the target's GOVERNMENT to change a policy. Possible sanctions include limiting export or import trade with the target; constraining INVESTMENT in the target; and preventing TRANSFERS of MONEY involving citizens or the government of the target. Sanctions can be multi­lateral, with many countries acting together, perhaps under the auspices of the United Nations, or unilateral, when one country takes action on its own.

행동이 잘못된 국가들 처벌하는 방법으로 그들을 폭격하거나 침략하는 것보다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상 국가의 정부가 정책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해서 대상 국가에는 국제 무역에서 하나 이상의 제약이 부여된다. 가능한 제재로는 대상 국가의 수출과 수입을 제한다는 것, 대상 국가의 투자를 제한하는 것, 그리고 대상 국가의 국민과 국가의 돈의 이동을 막는 것이다. 제재는 유엔의 찬조 아래 많은 국가들이 함께 행동하는 다자간일 수도 있고 한 나라가 일방적으로 행동하는 독자적일 수도 있다.

 

Economies of scale (규모의 경제)

Bigger is better. In many industries, as output increases, the AVERAGE cost of each unit produced falls. One reason is that overheads and other FIXED COSTS can be spread over more units of OUTPUT. However, getting bigger can also increase average costs (diseconomies of scale) because it is more difficult to manage a big operation, for instance.

많을수록 좋다는 의미이다. 많은 산업에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 단위의 평균 원가는 감소한다. 한 가지 이유는 간접비와 기타 고정비가 생산량으로 더 많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 대규모로 운영을 해야 하고 더 어렵기 때문에 평균 비용(규모의 비경제) 역시 증가할 수 있다.

 

Elasticity (탄력성)

A measure of the responsiveness of one variable to changes in another.

다른 변수 변화로 인한 한 변수의 반응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PRICE ELASTICITY measures how much the quantity of SUPPLY of a good, or DEMAND for it, changes if its PRICE changes. If the percentage change in quantity is more than the percentage change in price, the good is price elastic; if it is less, the good is INELASTIC.

가격탄력성은 상품의 가격이 변동될 경우, 상품의 공급량 즉 수요량이 얼마큼 변화하는지 측정한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가격 변화율보다 클 경우 상품은 가격에 대해 탄력적이라고 하고,  작을 경우에는 상품은 가격에 대해 비탄력적이라고 말한다.

INCOME elasticity of demand measures how the quantity demanded changes when income increases.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이 증가할 때 요구되는 수량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측정한다.

Cross-elasticity shows how the demand for one good (say, coffee) changes when the price of another good (say, tea) changes. If they are SUBSTITUTE GOODS (tea and coffee) the cross-elasticity will be positive: an increase in the price of tea will increase demand for coffee. If they are COMPLEMENTARY GOODS (tea and teapots) the cross-elasticity will be negative. If they are unrelated (tea and oil) the cross-elasticity will be zero.

교차탄력성은 한 상품(커피)에 대한 수요가 다른 상품(차)의 가격이 변동할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만약 그들이(커피와 차) 대체품이라면 교차탄력성은 양수일 것이고 차 가격의 인상은 커피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다. 만약 그들이 보완재(차와 찻주전자)라면 교차탄력성은 음수일 것이다. 그들이(차와 기름) 서로 전혀 관련이 없다면 교차탄력성은 0이 될 것이다.

Elasticity of substitution describes how easily one input in the production process, such as LABOUR, can be substituted for another, such as machinery.

대체탄력성은 노동력과 같은 생산 과정에서의 하나의 요소가 기계와 같은 다른 요소로 얼마나 쉽게 대체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Exchange controls (외환 관리)

Limits on the amount of foreign currency that can be taken into a country, or of domestic currency that can be taken abroad.

한 국가가 가져갈 수 있는 외화의 규모 또는 국내 통화가 해외로 빠져나갈 수 있는 규모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Externality (외부 효과)

An economic side-effect. Externalities are costs or benefits arising from an economic activity that affect somebody other than the people engaged in the economic activity and are not reflected fully in PRICES. For instance, smoke pumped out by a factory may impose clean-up costs on nearby residents; bees kept to produce honey may pollinate plants belonging to a nearby farmer, thus boosting his crop. If the externality is beneficial, the market will provide too little; if it is a cost, the market will supply too much.

외부효과는 경제활동을 통해서 발생하는 이익과 비용을 말하는데, 그것은 경제활동에 포함된 사람 이외의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며 가격에 완벽히 반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뿜는 매연은 근처 주민들에게 정화 비용으로 부과될 수 있고, 꿀 생산을 위한 벌들은 근처 농부의 식물을 수분시켜 작물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외부효과가 이익이라면, 시장은 너무 적게 공급할 것이고, 비용이라면 시장은 매우 크게 공급할 것이다.

One potential solution is REGULATION: a ban, say. Another, when the externality is negative, is a tax on the activity or, if the externality is positive, a SUBSIDY. But the most efficient solution to externalities is to require them to be included in the costings of those engaged in the economic activity, so there is self-regulation. 

한 가지 잠재적인 해결책은 규정(금지)이며, 다른 해결책은으로, 외부효과가 부정적일 경우 활동에 대한 세금을 부여하고 외부효과가 긍정적일 때는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외부효과의 가장 효율적인 해결책은 자율 규제를 통해 경제활동에 비용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Factory prices (출고가)

The prices charged by producers to wholesalers and retailers. Because these prices are eventually passed on to the end customer, changes in factory prices, also known as producer prices, can be a leading indicator of consumer price inflation.

생산자가 도매상과 소매상에게 부과하는 가격을 말한다. 출고가는 결국 최종 고객에게 전가되기 때문에, 생산자 물가라고도 불리는 출고가의 변화는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의 선행 지표가 될 수 있다.

 

Fine tuning (파인튜닝)

A favourite government policy in the keynesian-dominated 1950s and 1960s, involving frequent adjustments to fiscal policy and/or monetary policy to alter the level of demand to keep the economy growing at a steady rate. The trouble was and is, partly because of the inadequacies of economic forecasting, that these frequent adjustments were and are often mistaken, making the economy's growth path more, rather than less, erratic. In the 1990s, fine tuning was increasingly shunned by central banks and governments, which stopped trying to manage short-term demand and instead aimed to pursue long-term macroeconomic goals, which required fewer adjustments to policy.

케인즈 학설이 지배적이었던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가장 선호된 정부 정책으로 재정정책의 빈번한 조정과 경제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수요 수준을 조정하는 통화 정책을 포함한다. 문제는 부적절한 경제 예측으로 이러한 빈번한 조정이 종종 실수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더 불규칙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1990년도에 와서, 파인튜닝은 중앙은행과 정부로부터 더욱 외면을 받았는데, 이는 단기적 수요를 관리하기보다 장기적인 거시경제를 추구하는 것으로 목표를 삼았기 때문에 빈번한 정책 조정이 덜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Fiscal drag (재정적 견인)

Fiscal drag is the tendency of revenue from taxation to rise as a share of GDP in a growing economy. 

재정적 견인은 성장하고 있는 경제에서 조세수입이 GDP의 지분만큼 증가하는 경향을 말한다. 

 

Fiscal neutrality (재정 중립성)

When the net effect of taxation and public spending is neutral, neither stimulating nor dampening demand. The term can be used to describe the overall stance of fiscal policy: a balanced budget is neutral, as total tax revenue equals total public spending. 

과세와 공공 지출의 순효과가 중립적일 때(수요의 자극과 위축이 없는)를 뜻한다. 이 용어는 재정정책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총 조세수입이 총 공공지출과 같을 때 균형예산은 중립이다. 

 

Fiscal policy (재정정책)

One of the two instruments of macroeconomic policy. It comprises public spending and taxation, and any other government income or assistance to the private sector (such as tax breaks). It can be used to influence the level of demand in the economy, usually with the twin goals of getting unemployment as low as possible without triggering excessive inflation. At times it has been deployed to manage short-term demand through fine tuning, although since the end of the keynesian era it has more often been targeted on long-term goals, with monetary policy more often used for shorter-term adjustments.

거시경제의 두 가지 정책 도구 중 하나이다. 공공 지출과 과세, 그리고 모든 정부의 수입 또는 민간분야 지원으로 구성된다. 재정정책은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실업률을 개선시키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경제 수요 수준에 영향을 끼칠 때 사용된다. 때로는 파인튜닝을 통해 단기 수요 관리를 위해 사용되기도 했지만 케인즈 시대 이후로는 장기적 목표를 타깃 하는 경우가 많았고 단기 조정에는 통화정책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Flotation (상장)

Going public. When shares in a company are sol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rough an initial public offering. The number of shares sold by the original private investors is called the "float". 

상장하는 것이다. 기업이 IPO를 통해서 처음으로 공모를 하는 경우, 기존 개인투자자들이 매각한 주식의 수를 플로트라고 부른다. 또한 

 

Frictional unemployment (마찰적 실업)

That part of the jobless total caused by people simply changing jobs and taking their time about it. There is likely to be some frictional unemployment even when there is technically full employment, because most people change jobs from time to time.

사람들이 단순히 직업을 바꾸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야기되는 실업 총계의 일부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때때로 직업을 바꾸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완전 고용인 상태에서도 마찰적 실업을 발생할 수 있다.

 

Fungible (대체 가능한)

Something is fungible when any one single specimen is indistinguishable from any other. Anything that people want to use as money must be fungible, whether it be gold bars, beads or shells.

어떤 하나의 표본이 다른 표본과 구별할 수 없을 때 Fungible 하다고 말한다. 금괴 건, 구슬이던, 조개껍데기든 간에 사람들이 돈으로 사용하길 원하는 것이라면 Fungible 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