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경제용어

68.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4)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경제용어 정리 4탄입니다. M ~ R 편입니다. A ~ L 편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양이 생각보다 많아 기초 용어는 제외하고 내용은 최대한 핵심만 요약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1)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2)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3)

 


 

Macroeconomic policy (거시경제정책)

Top-down policy by GOVERNMENT and CENTRAL BANKS, usually intended to maximise GROWTH while keeping down INFLATION and UNEMPLOYMENT. The main instruments of macroeconomic policy are changes in the rate of INTEREST and MONEY SUPPLY, known as MONETARY POLICY, and changes in TAXATION and PUBLIC SPENDING, known as FISCAL POLICY.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유지하면서 성장을 극대화하는 의도를 가진 정부와 중앙정부의 하향식 정책이다. 거시경제의 주요 도구는 재정정책이라고 알려진 금리와 통화량 및 조세와 공공지출을 변경하는 것이다.

 

Marginal (한계)

The difference made by one extra unit of something. Marginal revenue is the extra revenue earned by selling one more unit of something. The marginal PRICE is how much extra a consumer must pay to buy one extra unit. Marginal UTILITY is how much extra utility a person gets from consuming (or doing) an extra unit of something. The marginal cost (or whatever) can be very different from the AVERAGE cost (or whatever), which simply divides total costs (or whatever) by the total number of units produced (or whatever). A common finding in MICROECONOMICS is that small incremental changes can matter enormously.

어떤 것의 추가 단위에 의한 차이점이다. 한계 수입은 어떤 것을 하나 더 판매할 때 얻는 추가 수입이다. 한계 가격은 소비자가 한 개의 추가 단위를 구입할 경우 얼마를 더 지불해야 되는지 이다. 한계비용은 총비용에서 총생산 단위를 나누는 평균 비용과 매우 다를 수 있다. 미시경제학의 일반적인 발견은 작은 점진적 변화가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Market capitalization (시가총액)

The market value of a company’s SHARES: the quoted share PRICE multiplied by the total number of shares that the company has issued.

한 회사 주식의 시장 가치이다. 회사가 발행한 총 주식 수에서 상장가를 곱한 것이다.

 

Market forces (시장의 )

Shorthand for the pressures from buyers and sellers in a market, rather than those coming from a GOVERNMENT planner or from REGULATION.

정부계획자 또는 규제로부터 오는 압력보다는 시장의 구매자와 판매가에 의한 압력을 말한다.

 

Market power (시장지배력)

When one buyer or seller in a market has the ability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quantity of goods and SERVICES traded or the PRICE at which they are sold. Market power does not exist when there is PERFECT COMPETITION.

시장의 한 구매자 또는 판매자가 시장에서 거래되는 제품과 서비스의 수량 또는 가격에 대해서 대단한 영향력을 관철시킬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시장지배력은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Mean reversion (평균회귀)

The tendency for subsequent observations of a random variable to be closer to its mean than the current observation. For example, if the current number is 7, the average is 5, and there is mean reversion, then the next observation is likelier to be 6 than 8.

랜덤 변수의 후속 관측치가 현재 관측치보다 평균에 가까운 경향을 가질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현재 관측치가 7, 평균이 5, 그리고 평균회귀가 있을 경우, 다음 관측치는 8보다 6일 확률이 높다.

 

Menu costs (메뉴비용)

How much it costs to change PRICES. Just as a restaurant has to print a new menu when it changes the price of its food, so many other FIRMS face a substantial outlay each time they cut or raise what they charge. Such menu costs mean that firms may be reluctant to change their prices every time there is a shift in 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so there will be STICKY PRICES and the market for their OUTPUT will be in DISEQUILIBRIUM. The Internet may sharply reduce menu costs as it allows prices to be changed at the click of a mouse, which may improve EFFICIENCY by keeping markets more often in EQUILIBRIUM.

가격 변경에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에 대한 것이다. 식당은 음식의 가격을 변경할 때 새로운 메뉴판을 프린트해야 하는 것처럼, 많은 회사들은 가격을 올리거나 내릴 때마다 상당한 비용을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메뉴비용은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변경될 때마다 가격을 변동하는 것에 대해 꺼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신축비용이 존재하고 생산시장은 불평형 상태에 있게 된다.

 

Misery index (고통지수)

The sum of a country’s INFLATION and UNEMPLOYMENT rates. The higher the score, the greater is the economic misery.

한 나라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합이다. 지수가 높을수록, 경제적 불행이 크다.

 

Mobility (이동성)

The easier it is for the FACTORS OF PRODUCTION to move to where they are most valuable, the more efficient the allocation of the world's scarce resources is likely to be and the faster GDP will grow. Apart from continental drift, LAND is immobile. CAPITAL has long been extremely mobile within countries, and, with the rise of GLOBALISATION, it is now able to move easily around the world. 

생산요인이 더 가치 있는 곳으로 이동하기 쉬울수록, 세계 희소자원은 더 효율적으로 분배되고 GDP는 훨씬 빠르게 성장한다. 대륙이동과는 별개로, 땅은 이동할 수 없다. 자본은 긴 시간 동안 국가 안에서 큰 이동성을 가졌고, 글로벌화가 되면서 지금은 세계 곳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Monetarism (통화주의)

Control the MONEY SUPPLY, and the rest of the economy will take care of itself. Monetarism is based on the belief that INFLATION has its roots in the GOVERNMENT printing too much MONEY.

통화량을 관리하면, 경제의 나머지는 자연스레 관리된다는 것이다. 통화주의는 인플레이션이 돈을 많이 발행하는 정부로부터 기인한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Monetary neutrality (화폐의 중립성)

Changes in the MONEY SUPPLY have no effect on real economic variables such as OUTPUT, real INTEREST rates and UNEMPLOYMENT. If the CENTRAL BANK doubles the money supply, the PRICE level will double too.

통화량의 변화는 생산량, 실질금리, 실업률과 같은 실제 경제 변수에 전혀 영향이 없다는 것이다.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2배로 늘린다면, 물가지수는 역시 2배로 늘어난다.

  

Money illusion (화폐착각)

When people are misled by INFLATION into thinking that they are getting richer, when in fact the value of MONEY is declining. Because of money illusion, workers like to see their nominal WAGES rise, giving them the illusion that their circumstances are improving, even though in real (inflation-adjusted) terms they may be no better off.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화폐가치는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부자가 되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화폐착각으로 노동자들은 그들의 명목임금의 상승을 볼 것이고 비록 실질적인 면에서 전혀 나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착각을 줄 수 있다.

 

Monopsony (수요독점)

A market dominated by a single buyer. A monopsonist has the MARKET POWER to set the PRICE of whatever it is buying (from raw materials to LABOUR). Under PERFECT COMPETITION, by contrast, no individual buyer is big enough to affect the market price of anything.

한 판매자에 의해 시장이 지배된 상황을 말한다. 수요 독점자는 원자재부터 노동력까지 무엇은 구매하든지 간에 가격을 결정하는 시장 지배력을 가진다. 완전경쟁 시장에서는 반대로 개별 판매자는 어느 누구도 시장 가격에 영향을 줄만큼 크지 못하다.

 

Multiplier (승수)

Shorthand for the way in which a change in spending produces an even larger change in INCOME. For instance, suppose a GOVERNMENT loosens FISCAL POLICY, increasing net PUBLIC SPENDING by pumping an extra $10 billion into education. This has an immediate effect by increasing the income of teachers and of people who sell educational supplies or build or maintain schools. These people will in turn spend some of their extra money, putting more cash into the pockets of others, who spend some of it, and so on. In theory, this process could continue indefinitely, in which case the multiplier would have an infinite value. In practice, most people save some of their extra income rather than spend it. How much they spend will depend on their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지출의 변화가 더 큰 이익의 변화를 이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부가 재정정책을 완화해서 추가 100억 달러를 교육에 투입함으로써 순공공지출을 상승시킨다고 가정할 때, 이는 교사 및 교육용품을 판매하거나, 학교를 짓거나 유지하는 사람들의 수익을 증가시켜 즉각적인 효과를 일으킨다. 이 사람들은 결국 그들의 추가 수익을 지출해서 다른 사람들의 주머니 현금이 가도록 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이 과정은 승수가 무한대 값인 경우 무한정 지속될 수 있다. 실제 경우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출보다는 저축하고 얼마나 많은 돈을 소비하는지는 그들의 한계성향에 달려 있다.

 

 

Nationalisation (국영화)

When a GOVERNMENT takes ownership of a private-sector business. The performance of nationalised firms has often, but not always, been poor compared with their private-sector counterparts. State-owned businesses often enjoy a legally protected MONOPOLY, and the lack of COMPETITION means the firms face little pressure to be efficient. Although privatisation has not been universally beneficial, on balance it has increased economic EFFICIENCY.

정부가 민간사업 분야의 소유권을 획득할 때를 말한다. 국영화 기업의 성과는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종종 민간사업의 기업들과 비교해서 종종 부진해왔다. 국가 소유 사업은 법적으로 보호되는 독점을 발생시키고 경쟁의 부족은 기업들로 하여금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압박을 거의 직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영화가 항상 이득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것을 감안할 때, 경제적 효율은 높여왔다.

 

Natural monopoly (자연독점)

When a MONOPOLY occurs because it is more efficient for one firm to serve an entire market than for two or more FIRMS to do so, because of the sort of ECONOMIES OF SCALE available in that market. A common example is water distribution, in which the main cost is laying a network of pipes to deliver water.

특정 시장에서 이용 가능한 규모의 경제성으로 인하여, 전체 시장에 2개 이상의 기업보다 단일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어서 독점이 발생할 때를 말한다. 일반적인 예는 주요 비용이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배수 시장이다.

 

Network effect (네트워크효과)

When the value of a good to a consumer changes because the number of people using it changes. For instance, owning a phone becomes more valuable as more people are plugged into the telephone network. Network effects are sometimes called network EXTERNALITY, although this implies, often wrongly, that the benefits from being part of a network are a sort of MARKET FAILURE. They give a huge COMPETITIVE ADVANTAGE to the firm that owns the network. This INCUMBENT ADVANTAGE arises because a new entrant must persuade people to join a network that starts with fewer members, and thus may be less valuable to them than the network they are currently in.

상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변해서 소비자 상품의 가치가 변동할 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화 네트워크에 더 많은 사람들이 유입될수록 전화를 가진다는 것은 가치 있게 된다.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는 것의 이점이 다소 시장 실패로 종종 잘못 암시되지만, 네트워크 효과는 때때로 네트워크 외부성이라고 불린다. 네트워크 효과는 네트워크를 가진 기업들에게 엄청난 경쟁적 장점을 준다. 이 재임 우위는 새로운 진입자가 적은 구성원으로 시작하는 네트워크로 사람들이 가입하도록 설득해야 하는데 사람들에게는 현재 가입되어 있는 네트워크보다 덜 가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Non-price competition (비가격경쟁)

Trying to win business from rivals other than by charging a lower PRICE. Methods include ADVERTISING, slightly differentiating your product, improving its quality, or offering free gifts or discounts on subsequent purchases.

낮을 가격을 부여하기보다 다른 것을 활용해서 사업에서 승리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는 광고, 약간의 제품 차별화, 품질 개선, 후속 구매에 대한 무료 기프트 또는 할인을 포함한다.

 

Null hypothesis (귀무가설)

In ECONOMETRICS, economists often start with a null hypothesis that a particular variable equals a particular number, then crunch their data to see if they can prove or disprove it. The null hypothesis chosen is often the reverse of what the experimenter actually believes; it may be put forward to allow the data to contradict it.

계량경제학에서 경제학자들은 종종 특정 변수가 특정 숫자와 일치한다는 귀무가설로 시작하고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있는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귀무가설은 종종 실험자가 실제로 믿는 것과는 반대로 선택되고 그것을 반박하도록 데이터를 제시한다.

 

 

Oligopoly (과점)

When a few FIRMS dominate a market. Often they can together behave as if they were a single MONOPOLY, perhaps by forming a CARTEL. Or they may collude informally, by preferring gentle NON-PRICE COMPETITION to a bloody PRICE war. Because what one firm can do depends on what the other firms do, the behaviour of oligopolists is hard to predict.

몇몇 회사가 시장을 지배할 때, 그들은 아마도 카르텔을 형성함으로써 종종 독점인 것처럼 함께 행동할 수 있다. 또는 그들은 피 튀기는 가격 전쟁보다는 신사적인 비가격경쟁을 선호함으로써 공식적으로 공모할 수 있다. 한 회사가 할 수 있는 것이 다른 기업들이 무엇을 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에 과점주의자들의 행동은 예측하기 어렵다.

 

Open-market operations (공개시장조작)

CENTRAL BANKS buying and selling SECURITIES in the open market, as a way of controlling INTEREST rates or the GROWTH of the MONEY SUPPLY. By selling more securities, they can mop up surplus MONEY; buying securities adds to the money supply. The securities traded by central banks are mostly GOVERNMENT BONDS and TREASURY BILLS, although they sometimes buy or sell commercial securities.

중앙은행은 금리와 통화량의 성장의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개시장에서 증권을 사고 판다. 증권을 더 많은 판매 해서, 중앙은행은 돈의 여분을 빨아 들일 수 있고 증권을 구매해서 화폐 공급을 추가할 수 있다. 중앙은행은 때때로 상업 증권을 사거나 팔지만, 주로 거래되는 증권은 국채 그리고 만기 1년 미만의 국채이다.

  

Output gap (아웃풋 )

How far an economy’s current OUTPUT is below what it would be at full CAPACITY. On average, INFLATION rises when output is above potential and falls when output is below potential. However, in the short ru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tion and the output gap can deviate from the longer-term pattern and can thus be misleading.

경제의 현 생산량이 최대 생산량보다 얼마큼 낮은 가를 뜻한다. 평균적으로 인플레이션은 생산량이 잠재력보다 위일 때 높아지고, 생산량이 잠재력보다 낮을 때 떨어진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아웃풋 갭의 관계는 장기적인 패턴을 벗어날 수 있고 잘못될 수 있다.

 

Overheating (과열)

When an economy is growing too fast and its productive CAPACITY cannot keep up with DEMAND. It often boils over into INFLATION.

경제가 너무 빠르게 성장하고 생산 능력이 수요를 따라갈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이는 종종 인플레이션으로 끓어오른다.

 

Overshooting (오버슈팅)

The common tendency of PRICES in FINANCIAL MARKETS initially to move further than would seem strictly necessar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fundamentals that should, in theory, determine value. One reason may be that in the absence of perfect INFORMATION, investors move in herds, rushing in and out of markets on rumour. Eventually, as investors become better informed, the price usually returns to a more appropriate level.

이론상 가치를 결정하는 펀더멘탈의 변화보다 더 멀리 초기 이동하는 금융시장에서의 일반적인 가격 경향을 말한다. 한 가지 이유는 완벽한 정보의 결여에서, 투자자들은 소문에 의해 시장을 들락날락거리면서 무리 지어 움직이기 때문이다. 결국 투자자들이 정보를 더 잘 알게 되면서, 가격은 더 적절한 수준으로 돌아온다.

 

 

Pareto efficiency (파레토효율)

A situation in which nobody can be made better off without making somebody else worse off. If an economy’s resources are being used inefficiently, it ought to be possible to make somebody better off without anybody else becoming worse off. In reality, change often produces losers as well as winners.

누군가를 더 나빠지게 만들지 않고는 어느 누구도 더 나아질 수 없는 상황을 말한다. 경제의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때, 다른 사람이 더 나빠지지 않고 누군가는 나아질 수는 있다. 현실 세계에서 변화는 승자뿐만 아니라 패자를 종종 만들어낸다.

  

Path dependence (경로의존성)

Where you have been in the past determines where you are now and where you can go in future. Indeed, even small, apparently trivial, differences in the path you have taken can have huge consequences for where you are and can go. In ECONOMICS, path dependence refers to the way in which apparently insignificant events and choices can have huge consequences for the development of a market or an economy.

당신이 과거에 어디 있었는지가 현재와 미래에 어디에 갈 수 있을지를 결정한다. 실제로 당신이 취해 온 작고 명백히 사소한 차이조차 당신이 어디에 있고 어디에 갈 수 있는지에 대해 큰 결과를 만들어 낸다. 경제학에서, 경로의존성은 명백히 덜 중요한 사건과 선택이 경제 또는 시장의 발전에 어떤 큰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를 뜻한다.

 

Percentage point (퍼센트 포인트)

A unit of size, a one-hundredth of the total. Not to be confused with percentage change. When something increases by 1 percentage point this may be quite different from a 1% increase. For instance, if GDP grew last year by 1% and this year by 2%, the GROWTH rate this year increased by 1 percentage point compared with last year (the difference between 1% and 2%) and also by 100% (2% is double 1%). A 1% increase would mean that the growth rate this year was only 1.01%.

크기 단위 총 100분의 1을 말한다. 백분율의 변화와 혼동되지 말아야 한다. 어떤 것이 1 퍼센트 포인트 증가했다면, 이것은 1 퍼센트의 증가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GDP가 작년 1%, 올해 2% 성장했다면, 올해 성장률은 작년 대비 1 퍼센트 포인트 증가한 것이고 100% 증가한 것이다. 1 퍼센트 증가는 올해 성장률이 1.01%에 불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ecautionary motive (예비적동기)

Keeping some MONEY handy, just in case. One of three motives for holding money identified by KEYNES, along with the transactional motive (having the cash to pay for planned purchases) and the speculative motive (you think ASSET prices are going to fall, so you sell your assets for cash).

만약을 대비해서 돈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케인즈에 의해 확인된 3가지 돈을 가지고 있는 동기 중에 하나다; 거래 동기는 계획된 구입을 위해서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 투기적 동기는 자산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현금화시키는 것이다.

 

Predatory pricing (약탈가격)

Charging low PRICES now so you can charge much higher prices later. The predator charges so little that it may sustain losses over a period of time, in the hope that its rivals will be driven out of business. Clearly, this strategy makes sense only if the predatory firm is able eventually to establish a MONOPOLY.

지금 낮은 가격을 부과하고 나중에 높은 가격을 부과하는 것이다. 약탈자들은 경쟁회사들이 사업에서 나가길 바라면서 일정기간 동안 손실을 유지할 정도로 매우 적게 부과한다. 분명히 이 전략은 약탈 기업이 결국 독점을 수립할 수 있다면 이치에 맞는 것일 것이다.

 

Price discrimination (가격차별)

When a firm charges different customers different PRICES for the same product. For producers, the perfect world would be one in which they could charge each customer a different price: the price that each customer would be willing to pay. This would maximise PRODUCER SURPLUS. This cannot happen, not least because sellers do not know how much any individual would pay.

기업이 동일 제품에 대해서 다른 고객들에게 다른 가격을 부과하는 것이다. 생산자들에게 완벽한 세계는 각 고객이 원하는 가격으로 고객마다 다른 가격을 부과하는 것일 것이다. 이것은 판매자가 개인이 얼마에 구매할지 알 수 없기 대문에 적어도 일어날 수 없다.

 

Price elasticity (가격탄력성)

A measure of the responsiveness of DEMAND to a change in PRICE. If demand changes by more than the price has changed, the good is price-elastic. If demand changes by less than the price, it is price-inelastic. Economists also measure the ELASTICITY of demand to changes in the INCOME of consumers.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반응을 말한다. 가격이 변동되는 것보다 수요가 크게 변하면, 상품은 가격탄력성이 있는 것이다. 가격이 변동되는 것보다 수요가 적게 변하면 가격 비탄력성이 있는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소비자 소득의 변화에 따른 수요 탄력성을 측정한다.

 

Price regulation (가격통제)

When PRICES of, say, a PUBLIC UTILITY are regulated, giving producers an incentive to maximise their profits by reducing their costs as much as possible.

예를 들어 공공 유틸리티 가격이 통제될 때, 생산자들의 비용을 최대한 낮춤으로써 그들의 이득을 극대화시키는 동기가 된다.

  

Private equity (사모형투자)

When a firm’s SHARES are held privately and not traded in the public markets. Private equity includes shares in both mature private companies and, as VENTURE CAPITAL, in newly started businesses. As it is less liquid than publicly traded EQUITY, investors in private equity expect on average to earn a higher EQUITY RISK PREMIUM from it.

기업 주식이 공공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고 사적으로 보유되는 것을 말한다. 사모형투자는 성숙한 사기업 그리고 모험자본으로 새로 창업한 기업의 주식 모두를 포함한다. 사모형투자의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평균보다 높은 주식 리스크 프리미엄을 기대한다.

 

 

Queueing (큐잉-줄서기)

Usually a queue reflects a PRICE that is set too low, so that DEMAND exceeds SUPPLY, so some customers have to wait to buy the product. But a queue may also be the result of deliberate rationing by a producer, perhaps to attract attention - by a restaurant that wants to appear popular, say.

큐잉은 대게 가격이 매우 낮게 책정되어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때를 말한다. 그래서 일부 고객들은 상품 구매를 위해서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또한 큐잉은 예를 들어 인기 있는 것처럼 보이고 싶은 식당과 같이 관심을 끌기 위해 생산자들이 고의적인 배급의 결과를 의미할 수도 있다.

 

Quota (할당)

A form of PROTECTIONISM. A country imposes limits on the number of goods that can be imported from another country. For instance, France may limit the number of cars imported from Japan to, say, 20,000 a year. As a result of limiting SUPPLY, the PRICE of the imported good is higher than it would be under FREE TRADE, thus making life easier for domestic producers.

보호주의의 한 형태이다. 국가는 다른 국가에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숫자에 제한을 부과한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자동차의 숫자를 1년에 2만 개로 제한할 수 있다. 공급을 제한함으로써, 수입품의 가격은 자유무역 하에서보다 높아 국내 생산자들의 생활을 더욱 수월해진다.

 

 

Real options theory (실물옵션이론)

A newish theory of how to take INVESTMENT decisions when the future is uncertain, which draws parallels between the real economy and the use and valuation of financial option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fashionable at business schools and even in the boardroom.

미래가 불확실할 때 어떻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이론으로, 실제 경제와 금융 옵션의 사용과 평가 사이의 유사점을 도출한다. 이것은 경영대학원, 심지어 이사회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Traditional investment theory says that when a firm evaluates a proposed project, it should calculate the project's NET PRESENT VALUE (NPV) and if it is positive, go ahead.

고전적인 투자 이론은 기업이 제안된 프로젝트를 평가할 때, 프로젝트의 NPV를 계산하고 양수이면 진행해야 된다고 말한다.

Real options theory assumes that FIRMS also have some choice in when to invest. In other words, the project is like an option: there is an opportunity, but not an obligation, to go ahead with it. As with financial options, the interesting question is when to exercise the option: certainly not when it is out of the money (the cost of investing exceeds the benefit). Financial options should not necessarily be exercised as soon as they are in the money (the benefit from exercising exceeds the cost). It may be better to wait until it is deep in the money (the benefit is far above the cost). Likewise, companies should not necessarily invest as soon as a project has a positive NPV. It may pay to wait.

실물옵션이론은 기업이 언제 투자를 할지에 대한 선택지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즉 프로젝트는 옵션과 같다. 추진해볼 기회는 있으나 의무사항은 아닌 것이다. 금융 옵션과 마찬가지로, 흥미로운 질문은 언제 옵션을 실행하는지이다 (투자비용이 이득을 초과할 때는 확실히 아니다). 금융 옵션은 이득이 비용을 초과할 때 반드시 실행해야 한다고 설명하지 않는다. 이득이 비용을 한참 초과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업은 프로젝트가 양수의 NPV를 가질 때, 필수적으로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 기다리는 것이 득이 될 수 있다.

 

Reciprocity (호혜성)

A grants B certain privileges on the condition that B grants the same privileges to A. Most international economic agreements, for example, on trade, include binding reciprocity requirements.

A는 B가 A에게 동일한 특혜를 부여하는 조건으로 B에게 특혜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무역과 관련한 국제 경제 합의에서 구속력 있는 호혜성 요건이 포함되어 있다.

 

Reflation (리플레이션)

Policies to pump up DEMAND and thus boost the level of economic activity. Monetarists fear that such policies may simply result in higher INFLATION.

수요를 인상하여 경제 활동 수준을 부양하기 위한 정책이다. 통화주의자는 이와 같은 정책이 단순히 더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Regulatory arbitrage (규제차익)

Exploiting loopholes in REGULATION, and perhaps making the regulation useless in the process. This is often done by international investors that use DERIVATIVES to find ways around a country’s financial regulations.

규제 구멍을 악용해서 규제를 쓸모없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종종 파생상품들을 활용해서 국가의 금융 제도를 둘러싼 방법을 찾는 국제 투자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Reservation wage (유보임금)

The lowest WAGE for which a person will work.

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는 최저 임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