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경제용어

69.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5)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경제용어 정리 마지막인 5탄입니다. A ~ R 편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양이 생각보다 많아 기초 용어는 제외하고 내용은 최대한 핵심만 요약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1)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2)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3)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4)


 

Scalability (확장성)

The ease with which the SUPPLY of an economic product or process can be expanded to meet increased DEMAND.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have led some economists to talk about the growing importance of instant scalability. For example, once a piece of software has been written it can be made available in an instant over the Internet to unlimited numbers of users for almost no cost. This potentially allows a new product to enter and win market share far more quickly than ever before, intensifying COMPETITION and perhaps accelerating the process of creative destruction.

경제 상품과 과정의 공급이 증가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는 용이성을 말한다. 최근 기술적 진보는 일부 경제학자들이 즉각적인 확장성의 커지고 있는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도록 만들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고 인터넷을 통해서 거의 무료로 무제한의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과거보다 새로운 상품이 진입하고 시장 지분을 더욱 빠르게 확보할 수 있도록 만들어 경쟁을 심화시키고 창조적 파괴를 가속화시킨다.

 

Scarcity (희소성)

Supplies of the FACTORS OF PRODUCTION are not unlimited.

생산요소의 공급이 제한된 것을 말한다.

 

Securitisation (유동화)

Turning a future cashflow into tradable, BOND-like SECURITIES. Securitisation has many benefits, at least in ­theory. Issuers gain instant access to MONEY for which they would otherwise have to wait months or years, and they can shed some of the RISK that their expected revenue will not materialise. By selling securitised loans, investment banks are able to finance their customers without tying up large amounts of CAPITAL. Investors can hold a new sort of asset, less risky than unsecured bonds, giving them the risk-reducing benefit of DIVERSIFICATION.

미래 현금흐름을 채권 증권과 같이 거래할 수 있게 바꾸는 것이다. 유동화는 많은 적어도 이론상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발행자는 몇 개월에서 몇 년을 기다려야 하는 돈에 대한 즉각적인 접급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고 그들의 예상 수익이 구체화되지 않을 위험의 일부를 없앨 수 있다. 유동화 대출을 판매함으로써 투자은행은 큰 규모의 자본을 묶지 않고도 고객들에게 자금을 댈 수 있다. 투자자들은 무담보 대출보다 덜 위험한 새로운 종류의 자산을 보유할 수 있어 위험을 줄이는 분산 이익을 줄 수 있다.

 

Shadow price (그림자가격)

The true economic PRICE of an activity: the OPPORTUNITY COST. Shadow prices can be calculated for those goods and SERVICES that do not have a market price, perhaps because they are set by GOVERNMENT.

활동의 진정한 경제적 가격으로 기회비용이다. 그림자가격은 정부에 의해 정한 시장 가격이 없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계산할 때 사용된다.

 

Shorting (공매도)

Selling a SECURITY, such as a SHARE, that you do not currently own, in the expectation that its PRICE will fall by the time the security has to be delivered to its new owner. If the price does fall, you can buy the security at the lower price, deliver it to whoever you sold it to and make a PROFIT. The RISK is that the price rises, leaving you with a loss.

현재 가지고 있지 않는 주식과 같은 증권을 새로운 보유자에게 전달할 때쯤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판매하는 것이다. 가격이 떨어지면, 더 낮은 가격에 증권을 살 수 있고, 구매자에게 전달하면서 이익을 만들 수 있다. 위험은 가격이 상승할 시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Signalling (신호보내기)

A solution to one of the biggest sources of MARKET FAILUREASYMMETRIC INFORMATION. Often the biggest problem facing sellers is how to convince buyers that what they are selling is as good as they say it is. This problem arises in situations where the qualities of the thing being sold cannot be observed easily by buyers. In such situations, an answer may be for sellers to do something that shows they mean what they say about quality. This something is what economists call signalling.

시장실패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인 비대칭 정보에 대한 하나의 해법이다. 판매자가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종종 그들이 말하는 것만큼 좋다는 것을 구매자에게 어떻게 납득시키느냐 이다. 이 문제는 판매상품의 품질을 구매자가 쉽게 발견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해답은 판매자로 하여금 품질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보여주는 무언가를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것을 경제학자들은 신호 보내기라고 말한다.

 

Social capital (사회자본)

The amount of community spirit or trust that an economy has gluing it together. The more social capital there is, the more productive the economy will be.

경제가 하나로 묶여있다는 공동체 정신이나 신뢰의 양을 말한다. 사회자본이 많을수록 더욱 생산적인 경제가 된다.

 

Soft loan (연성차관)

A loan provided at below the market INTEREST RATE. Soft loans are used by international agencies to encourage economic activit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o support non-commercial activities.

시장 금리보다 낮게 대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성차관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활동을 촉진시키고 비상업적 활동들을 지원하기 위해 국제기관에서 사용한다.

 

Sterilised intervention (외환시장개입)

When a GOVERNMENT or CENTRAL BANK buys or sells some of its RESERVES of foreign currency this can affect the country’s MONEY SUPPLY. Selling reserves decreases the supply of the domestic currency; buying reserves increases the domestic money supply.

정부나 중앙은행이 국가의 통화 공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환보유액을 매입하거나 매각할 때 발생한다. 외환보유액을 판매하는 것은 국내 통화 공급을 감소시키고 외환보유액을 매입하면 국내 통화 공급은 증가한다.

 

Sticky prices (비신축가격)

Petrol-pump PRICES do not change every time the oil price changes, and holiday prices and standard hotel rates are fixed for months. Sticky prices are slow to change in response to changes in SUPPLY or DEMAND. As a result there is, at least temporarily, DISEQUILIBRIUM in the market. The causes of stickiness include MENU COSTS, inadequate information, consumers' dislike of frequent price changes and long-term contracts with fixed prices.

석유 펌프 가격은 유가가 변동할 때마다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휴가 비용과 표준 호텔 비용도 몇 달 동안 고정된다. 비신축가격은 공급과 수요의 변경에 매우 더디다. 그 결과, 적어도 일시적으로 시장 불균형이 발생한다. 비신축의 요인은 메뉴비용, 불충분한 정보, 소비자의 잦은 가격 변동에 대한 반감, 그리고 고정 가격에 대한 장기 계약 등이 있다.

 

Sunk costs (매몰비용)

When what is done cannot be undone. Sunk costs are costs that have been incurred and cannot be reversed, for example, spending on ADVERTISING or researching a product idea. They can be a barrier to entry. If potential entrants would have to incur similar costs, which would not be recoverable if the entry failed, they may be scared off.

행해진 일들을 마칠 수 없을 때를 말한다. 매몰비용은 발생했으나 되돌릴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광고 지출이나 상품 아이디어 연구 비용). 매몰비용은 진입 장벽이 될 수 있다. 만약 잠재적 진입자가 진입 실패 시 되돌릴 수 없는 유사한 비용을 발생시켜야 한다면, 그들은 겁을 먹을지도 모른다.

 

 

Tariff (관세)

Often used to describe a tax on goods produced abroad imposed by the GOVERNMENT of the country to which they are exported. Many countries have reduced such tariffs as part of the process of freeing up world trade.

종종 수출되는 국가의 정부에서 부과하는 해외에서 생산된 상품에 대한 세금을 설명한다. 많은 국가들은 세계 무역을 해소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이와 같은 관세를 인하했다.

 

Tax haven (조세피난처)

A country or designated zone that has low or no taxes, or highly secretive BANKS, and often a warm climate and sandy beaches, which make it attractive to foreigners bent on TAX AVOIDANCE or even TAX EVASION.

세금이 낮고 없거나 매우 은밀한 은행이 있는 국가나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그리고 종종 따뜻한 기후와 모래사장이 있어 절세나 탈세를 하는 외국인들에게 매력적이다.

 

Trough (최저점)

The transition point between economic RECESSION and recovery.

경제 침체와 회복 사이의 전환점을 말한다.

 

Usury (고리대금)

Charging INTEREST, or, at least, an exorbitant rate of interest. In most modern economies, interest is recognised as a crucial part of the economic system, a reward to the lender for the RISK taken in making a loan. Even so, most developed countries have some form of usury law imposing limits on how high interest charges can be. These aim to protect borrowers from being exploited by unscrupulous loan sharks.

적어도 터무니없는 이자를 부과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 경제에서 이자는 대출자의 위험에 대한 보상으로 경제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지되고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얼마큼 이자를 부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을 두는 어떤 형태의 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차입자들이 부도덕적인 대출자들에게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Velocity of circulation (화폐 유통 속도)

The speed with which MONEY whizzes around the economy, or, put another way, the number of times it changes hands. Technically, it is measured as GNP divided by the MONEY SUPPLY (pick your own definition). It is an important ingredient of the QUANTITY THEORY OF MONEY.

돈이 경제에 확산되는 속도를 말하거나, 돈이 몇 번의 손을 거치는지를 말한다. 기술적으로 GNP를 통화공급량으로 나눠서 측정한다. 이것은 화폐수량 이론의 중요한 요소이다.

 

Venture capital (모험자본)

PRIVATE EQUITY to help new companies grow. A valuable alternative source of finance for ENTREPRENEURS, who might otherwise have to rely on a loan from a probably RISK AVERSE bank manager. The United States has by far the world's biggest venture capital industry. Some economists reckon that this is why more innovative new firms have become successful there. However, the bursting of the dotcom bubble in 2000 threw American venture capital into a severe recession, damaging its reputation for financing profitable innovation.

신생 회사를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사모 자본이다. 그렇지 않으면 위험을 회피하려고 하는 은행 매니저로부터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기업가들에게 가치 있는 자금조달의 대안이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모험자본 시장을 가지고 있다. 몇몇 경제학자들은 이것이 더욱 혁신적인 새로운 기업들이 그곳에서 성공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2000년 닷컴 버블이 터지면서 미국 모험자본은 심각한 침체기에 빠졌고, 수익성 있는 혁신기업에 자금을 대는 명성에 타격을 입었다.

 

Volatility (변동성)

The most widely accepted measure of risk in financial markets is the amount by which the price of a security swings up and down. The more volatile the price, the riskier is the security. Not least because there is no obvious alternative, economists often use past volatility to forecast the future risk of a security. However, as the saying goes, past results are not necessarily guides to future performance.

금융시장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위험 척도는 증권의 가격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의 액수이다. 가격 변동성이 심할수록 증권은 더 위험하다. 왜냐하면 적어도 분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경제학자들은 종종 과거 변동성으로 증권의 미래 위험을 예측한다. 그러나 속담에서 말하듯이 과거 결과가 반드시 미래 성과를 가이드하는 것은 아니다.

 

 

Wage drift (임금부상)

The difference between basic pay and total earnings. Wage drift consists of things such as overtime payments, bonuses, PROFIT share and performance-related pay. It usually increases during periods of strong GROWTH and declines during an economic downturn.

기본소득과 총소득의 차이이다. 임금부상은 야근수당, 보너스, 이익배분, 성과와 관련된 보상 등을 포함한다. 임금부상은 대체로 강한 성장이 있을 경우 증가하고, 경제 침체기에는 감소한다.

 

Wealth effect (부의효과)

As people get wealthier, they consume more. This wealth effect has important consequences for MONETARY POLICY. When there is an INTEREST RATE increase, future INCOME from ASSETS such as EQUITIES must be discounted at a higher rate than before. As a result their owners feel poorer and spend less. A cut in interest rates has the opposite effect.

사람들은 부를 축적할수록 더 소비한다. 부의효과는 통화정책의 중요한 결과를 낳는다. 금리가 인상될 때, 증권과 같은 자산의 미래 수익은 이 전보다 더 큰 비율로 할인된다. 그 결과 자산보유자들은 더 가난해졌다고 느끼며 덜 소비한다. 금리 하락은 반대 영향을 발생시킨다.

 

Windfall gains (뜻하지 않은 이익)

INCOME you do not expect, such as winning a lottery prize. Economists have long argued about whether people are likely to save such windfalls or spend them. According to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favoured by most economists, people save the lion's share of windfall gains. But real life often contradicts this; ask any lottery winner.

로또에 당첨되는 것처럼 뜻하지 않은 이익을 말한다. 경제학자들은 오랫동안 사람들이 이와 같은 이익을 저축할지 소비할지에 대해서 논쟁해왔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선호하는 항상 소득 가설에 따르면, 사람들은 가장 큰 몫은 저축한다. 하지만 실제 삶은 종종 이에 모순된다. 로또 당첨자에게 물어봐라.

 

X-efficiency (X 효율성)

Producing OUTPUT at the minimum possible cost. This is not enough to ensure the best sort of economic EFFICIENCY, which maximises society's total CONSUMER plus PRODUCER SURPLUS, because the quantity of output produced may not be ideal. For instance, a MONOPOLY can be an X-efficient producer, but in order to maximise its PROFIT it may produce a different quantity of output than there would be in a surplus-maximising market with PERFECT COMPETITION.

가능한 최저 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회의 총 잉여가치를 극대화하는 최고의 경제 효율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생산량이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독점은 X효율성을 가진 생산자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생산자의 이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완전경쟁을 가진 잉여가치가 최대화되는 것과는 다른 생산량을 생산할 수도 있다.

 

Zero-sum game (제로섬게임)

When the gains made by winners in an economic transaction equal the losses suffered by the losers. It is identified as a special case in GAME THEORY. Most economic transactions are in some sense positive-sum games. But in popular discussion of economic issues, there are often examples of a mistaken zero-sum mentality, such as “PROFIT comes at the expense of WAGES”, “higher PRODUCTIVITY means fewer jobs”, and “IMPORTS mean fewer jobs here”.

경제 거래에서 승자가 얻는 이득과 패배자의 손실이 일치할 때를 말한다. 게임이론에서 특별한 경우로 확인이 된다. 대부분의 경제 활동은 어떤 의미에서 포지티브섬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