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 경제용어

66.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3)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경제용어 정리 3탄입니다. G ~ L 편입니다. A, B, C 편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양이 생각보다 많아 기초 용어는 제외하고 내용은 최대한 핵심만 요약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1)

#지난 포스팅: 이코노미스트 -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경제 용어 (2)

 


 

Game theory (게임이론)

Game theory is a technique for analysing how people, firms and governments should behave in strategic situations (in which they must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n deciding what to do must take into account what others are likely to do and how others might respond to what they do. For instance, competition between two firms can be analysed as a game in which firms play to achieve a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perhaps even a monopoly). The theory helps each firm to develop its optimal strategy for, say, pricing its products and deciding how much to produce; it can help the firm to anticipate in advance what its competitor will do and shows how best to respond if the competitor does something unexpected. It is particularly useful for understanding behaviour in monopolistic competition.

게임이론은 사람, 기업, 정부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전략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이 무엇을 할 가능성이 있는지와 어떻게 반응할지를 고려해서 무엇을 할지를 결정하는 분석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두 기업 간의 경쟁은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절대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경기하는 하나의 게임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론은 각 회사가 최적의 전략(제품 가격 책정과 얼마큼 생산해야 하는지)을 수립하도록 도와주고, 경쟁자가 무엇을 할지를 선제적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경쟁자가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할 경우 최적의 대응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게임이론은 특히 독점적 경쟁에서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One finding of game theory is that there may be a large first-mover advantage for companies that beat their rivals into a new market or come up with an innovation. One special case identified by the theory is the zero-sum game, where players see that the total winnings are fixed; for some to do well, others must lose. Far better is the positive-sum game, in which competitive interaction has the potential to make all the players richer. Another problem analysed by game theorists is the prisoners' dilemma.

게임이론의 한 가지 발견은 새로운 시장에서 경쟁업체를 물리치고 혁신을 고안하는 기업들에게 큰 선발주자의 이점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론에서 확인된 한 가지 특별한 케이스는 총승수가 정해져 있어 몇몇이 잘하기 위해 다른 플레이어가 패배해야 되는 제로섬 게임이다. 이보다 더 좋은 것은 경쟁적 상호작용이 모든 플레이들을 더 부유하게 만드는 잠재력 있는 포지티브섬게임이다. 게임 이론가들 분석한 또 다른 문제는 죄수의 딜레마이다.

 

Gearing (기어링)

A company's debt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its equity; also known as leverage.

회사의 부채를 자기자본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미국에서는 레버리지 비율이라고 한다.

 

General equilibrium (일반균형)

Economic perfection. This is when demand and supply are in balance (the market is in equilibrium) for each and every good and service in the economy. Nobody thinks that real-world economies can ever be that perfect; at best there is "partial equilibrium". But most economists think that general equilibrium is something worth aspiring to.

경제적 완벽함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에서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룰 때 발생한다. 아무도 실제 경제가 그 정도로 완벽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기껏해야 부분적 균형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일반균형을 열망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본다.

 

Generational accounting (세대 회계법)

A relatively new way of analysing fiscal policy by identifying the financial costs and benefits of government policies to people of different ages, now living or yet to be born. Fiscal policy can distribute resources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sometimes deliberately and often inadvertently. At any moment in time, one generation may be in work and paying taxes that support other generations (those at school or retired) that are not working. Over its lifetime, one generation's mix of taxes paid and benefits received may differ sharply from that of another generation. Politicians are often tempted to ignore the needs of future generations (who, clearly, cannot vote at the time) in order to win the support of current generations, for instance by borrowing heavily to fund current spending.

재정정책을 분석하는 비교적 새로운 방법으로, 현재 살고 있거나 아직 태어나지 않은 각기 다른 시대의 사람들 간의 재정 편익과 재정비용을 식별하는 것이다. 언제라도, 한 세대는 일하고 세금을 내는데, 이 세금이 다른 일하지 않는 세대를 지원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 세대가 평생 동안 납부한 세금과 받은 혜택이 다른 세대와 크게 다를 수 있다. 정치인들은 현세대의 지지를 받기 위해 흔히 미래 세대의 요구사항을 무시하는데 현재의 지출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돈을 빌리는 것이 하나의 예이다.

More fundamentally, because it incorporates all the tax and spending, current and future, to which a government is committed, generational accounting is a much better guide to whether fiscal policy is sustainable than measures such as the budget deficit, which looks only at taxes and spending in the current year.

세대 회계법은 보다 근본적으로 정부가 이행하고 있는 현재와 미래의 세금과 지출을 모두 통합하고 있기 때문에, 올해 세금과 지출만을 보고 재정적자를 평가하는 것보다 재정정책이 지속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훨씬 나은 가이드가 된다.

 

Giffen goods (기팬제)

a good for which demand increases as its price rises. But such goods may not exist in the real world.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인데, 이러한 상품은 현실세계에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Gini coefficient (지니계수)

An inequality indicator. The Gini coefficient measures the inequality of income distribution within a country. It varies from zero, which indicates perfect equality, with every household earning exactly the same, to one, which implies absolute inequality, with a single household earning a country's entire income. Latin America is the world's most unequal region, with a Gini coefficient of around 0.5; in rich countries the figure is closer to 0.3.

불평등지표이다. 지니계수는 한 국가 안에서의 소득분배의 불평등을 측정한다. 계수가 0일 경우 모든 가구가 동일한 소득을 얻는다는 의미로 완벽한 평등을 나타내며, 계수가 1인 경우 한 가구가 국가 전체의 소득을 얻는 절대 불평등을 나타낸다. 라틴 아메리카는 세계에서 가장 불평등한 지역인데, 지니계수는 약 0.5인 반면 부유한 국가들은 지수가 0.3에 가깝다.

 

Global public goods (지구적 공공재)

Public goods that cannot be provided by one country acting alone but only by the joint efforts of many (strictly, all) countries. Some economists, along with global institutions such as the UN, reckon that such goods include international law and law enforcement, a stable global financial system, an open trading system, health, peace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한 국가가 단독으로 제공할 수 없고 오직 많은 국가들의 공동 노력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는 공공재를 말한다. UN과 같은 글로벌 기관들과 더불어 일부 경제학자들은 지구적 공공재가 국제법과 법 집행, 안정된 세계 금융 시스템, 개방된 무역 시스템, 건강, 평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포함한다고 여긴다.

 

Gold standard (금본위제도)

A monetary system in which a country backs its currency with a reserve of gold, and allows currency holders to exchange their notes and coins for gold. For many years up to 1914, most of the world's leading currencies had their exchange rate determined by the gold standard. The economic disruption resulting from the first world war led the combatants to abandon the link to gold.

한 국가가 자국 통화를 금 보유고로 지원하고 통화 보유자가 지폐와 동전을 금으로 교환할 수 있게 하는 통화 시스템이다. 1914년까지 수년 동안 세계 주요 통화들의 환율은 금본위제도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비롯된 경제적 혼란은 많은 전쟁 참여국으로 하여금 통화를 금과 연결시키는 것을 포기하게 만들었다.

 

Golden rule

Over the economic cycle, a government should borrow only to invest and not to finance current spending. This rule is certainly a prudent approach to fiscal policy, provided that governments are honest in describing spending as investment, that they invest in appropriate things and do so efficiently, and that they are careful to avoid crowding out superior private investment. But there are other fiscal policy options that may make as much sense.

경기순환기 동안 정부는 현재 지출의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투자하기 위해서 차입해야 한다. 만약 정부가 지출을 투자로 설명하는데 정직하고, 적절하고 효율적인 투자를 하며, 우수한 민간투자가 위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조심만 한다면, 이 법칙은 확실히 재정정책의 신중한 접근이다. 그러나 그만큼 이치에 맞는 다른 재정정책들도 존재한다. 

 

 

Hard currency (경화)

MONEY you can trust. A hard currency is expected to retain its value, or even benefit from APPRECIATION, against softer currencies. This makes it a popular choice for people involved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The dollar, D-MARK, sterling and the Swiss franc each became a hard currency, if only some of the time, during the 20th century.

한마디로 믿을 수 있는 돈이다. 경화는 통과 가치가 유지되며 심지어 연화와는 달리 경제적 가치 증가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것은 국제 거래를 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선택이 되며, 달러, D-Mark, 스털링, 스위스 프랑은 각각 20세기 동안 일부만이라도 경화가 되었다.

 

Herfindahl-Hirschman index (허핀달-허쉬만 지수)

A warning signal of possible MONOPOLYANTITRUST economists often gauge the COMPETITIVENESS of an industry by measuring the extent to which its OUTPUT is concentrated among a few FIRMS. One such measure is a Herfindahl-Hirschman index. To calculate it, take the market share of each firm in the industry, square it, then add them all up. If there are 100 equal-sized firms (a market with close to PERFECT COMPETITION) the index is 100. If there are four equal-sized firms (possible OLIGOPOLY) it will be 2,500. The higher the Herfindahl number, the more concentrated is MARKET POWER.

독점 가능성에 대한 경고신호를 알려준다. 반독점 경제학자들은 종종 산업의 경쟁성을 측정할 때 생산성이 몇몇 기업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그런 조치 중 하나가 허핀달-허쉬만 지수이다. 계산하기 위해서 해당 산업 내 각 기업의 시장 점유율을 제곱하고 모두 합한다. 100개의 대등한 기업이 있을 경우 지수는 100이 된다. 4개의 동등 기업이 있다면 2,500이 된다. 허핀달 지수가 높을수록 시장지배력은 집중되는 것이다.

 

Horizontal equity (수평적 공평성)

One way to keep TAXATION fair. Horizontal equity means that people with a similar ability to pay taxes should pay the same amount. (See EQUITY and VERTICAL EQUITY.)

과제를 공정하게 유지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수평적 공평성은 비슷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동일한 규모의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Horizontal integration (수평적 통합)

Merging with another firm just like yours, for example, two biscuit makers becoming one. Contrast with VERTICAL INTEGRATION, which is merging with a firm at a different stage in the SUPPLY chain. Horizontal integration often raises ANTITRUST concerns, as the combined firm will have a larger market share than either firm did before merging.

2개의 비스킷 회사가 하나가 되는 것처럼, 유사한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급망이 다른 단계에 있는 회사와 합병하는 것인 수직적 통합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수평적 통합은 합병 전 각 기업보다 더 큰 시장점유율을 가지기 때문에 종종 반독점 우려로 제기된다.

 

Hot money (핫머니)

money that is held in one currency but is liable to switch to another currency at a moment’s notice in search of the highest available RETURNS, thereby causing the first currency’s EXCHANGE RATE to plummet. It is often used to describe the money invested in currency markets by speculators.

한 통화로 보유되지만 높은 이익이 가능할 경우 즉시 다른 통화로 전환되는 높은 경향의 돈이며, 기존 통화 환율 급락의 원인이 된다. 투기꾼들이 화폐 시장에서 투자한 돈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된다.

 

Hysteresis (이력현상)

Lagging; slow to respond. Traditionally, econo­mists believed that high UNEMPLOYMENT was a ­cyclical phenomenon. Eventually, unemployment would cause people to lower their wage de­mands, and so new job opportunities would arise and unemployment would fall. More recently, however, economists have suggested that some unemployed people, especially the long-term jobless, can display hysteresis. They find it hard, perhaps impossible, to return to work, even when jobs become available. For instance, unemployed workers may gradually lose the motivation, self-confidence or the self-discipline, needed to get to the workplace and fulfil job requirements. Or their skills may become outdated and redundant. State benefits for the jobless may contribute to this hysteresis by making it easier from them to stay out of work.

지연되고 응답이 느린 상태를 뜻한다. 전통적으로 경제학자들은 높은 실업률은 주기적인 현상이라고 믿어왔다. 실업은 사람들의 임금 요구를 낮출 것이고, 그래서 새로운 일자리 기회가 생겨나고 결국 실업률은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경제학자들은 일부 장기 실업자들에게 이력현상이 보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일자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다시 일하기 힘들어하고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업자들은 일자리 확보와 필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동기, 자신감, 또는 자기 훈련을 점진적으로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또는 그들의 기술이 구식이고 불필요해졌을 수도 있다. 실업자에 대한 국가 혜택은 그들이 더욱 쉽게 일하지 않도록 이력현상에 기여될 수 있다.

 

 

Indexation (물가연동제)

Keeping pace with INFLATION. In many countries, WAGES, pensions, UNEMPLOYMENT benefits and some other sorts of INCOME are automatically raised according to recent movements in the consumer PRICE index. This allows these different sorts of income to retain their value in REAL TERMS.

인플레이션의 속도에 맞추는 것이다. 많은 국가에서 임금, 연금, 실업수당 및 다른 종류의 소득은 최근 소비자 물가 지수의 움직임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상되는데, 이것은 이러한 다른 종류의 소득의 실질 가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Intervention (간섭)

When CENTRAL BANKS try to influence an EXCHANGE RATE by buying the currency they want to appreciate and selling the one they want to weaken. The evidence seems to suggest that it is at best a short-term measure. In the longer term, governments probably do not have the resources to beat MARKET FORCES.

중앙은행이 가치를 높이고 싶은 통화를 사고 가치를 떨어뜨리고 싶은 통화은 판매함으로써 환율에 영향을 끼칠 때 발생한다. 단기적인 조치에 최적이라는 것이 증거로 나타나는데, 장기적으로는 정부는 시장의 힘을 이길 만한 자원을 아마 가지고 있지 않을 것이다.

 

Invisible trade (무형무역)

EXPORTS and IMPORTS of things you cannot touch or see: SERVICES, such as banking or advertising and other intangibles, such as copyrights. Invisible trade accounts for a growing slice of the value of world trade.

뱅킹이나 광고와 같은 서비스 그리고 저작권과 같은 무형자산처럼 만지거나 볼 수 없는 것들에 대해서 수출과 수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형무역은 세계 무역에서 점점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J-curve (제이커브)

The shape of the trend of a country’s trade balance following a DEVALUATION. A lower EXCHANGE RATE initially means cheaper EXPORTS and more expensive IMPORTS, making the current account worse (a bigger DEFICIT or smaller surplus). After a while, though, the volume of exports will start to rise because of their lower PRICE to foreign buyers, and domestic consumers will buy fewer of the costlier imports. Eventually, the trade balance will improve on what it was before the devaluation. If there is a currency APPRECIATION there may be an inverted J-curve.

평가절하 이후 한 국가의 무역수지 추세의 모양을 나타낸다. 환율을 떨어뜨린다는 것은 애초에 저렴하게 수출하고 더 비싸게 수입한다는 의미 하며 경상수지를 악화시킨다. 그러나 일정기간 이후, 외국 구매자들에게는 낮은 가격으로 인해 수출량은 증가하기 시작하고 국내 구매자들은 비싸진 수입품들을 덜 사게 될 것이다. 결국에는 무역수지는 평가절하 이전보다 개선된다. 통화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역 제이커브가 나타날 수 있다.

 

Kleptocracy (도둑정치)

Corrupt, thieving GOVERNMENT, in which the politicians and bureaucrats in charge use the powers of the state to feather their own nests. Russia in the years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COMMUNISM was a clear-cut example, with Mafia-friendly GOVERNMENT members allocating themselves valuable SHARES during the PRIVATISATION of state-owned companies, accepting bribes from foreign businesses, not collecting taxes from “helpful” companies and siphoning off INTERNATIONAL AID into their personal OFFSHORE BANK accounts.

정치인들과 관료인들이 국가의 힘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사용하는 부패되고 도둑질하는 정부를 말한다. 공산주의가 몰락한 직후 몇 년간의 러시아는 명백한 사례인데, 마피아 친화적인 정부 사람들은 국가 소유 기업의 민영화 동안 가치 높은 주식을 스스로 할당하였고, 외국기업으로부터 뇌물을 받았으며, 그들에게 도움이 된 기업들에게 세금을 거두지 않았으며, 국제원조를 그들의 해외 개인계좌로 빼돌렸다.

 

Kondratieff wave (콘드라티에프 파동)

A 50 year-long BUSINESS CYCLE. Nikolai Kondratieff claimed to have identified cycles of economic activity lasting half a century or more in his 1925 book, The Long Waves in Economic Life. Because this implied that CAPITALISM was, ultimately, a stable system, in contrast to the Marxist view that it was self-destructively unstable, he ended up in one of Stalin's prisons, where he died. Alas, there is little hard evidence to support Kondratieff's conclusion.

50년 주기의 경기변동을 나타낸다. 콘드라티에프는 그의 1925년 저서에서 반세기 이상 간 지속하는 경제활동의 주기를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자본주의 체계가 자멸적으로 불안정하다 라는 견해와 상반되는 안정적인 시스템이라는 것을 의미했고 그는 결국 스탈린의 감옥 중 한 곳에 있게 되었고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결론을 뒷받침할 만한 확실한 증가는 없다.

 

 

Labour intensive (노동집약적)

A production process that involves comparatively large amounts of LABOUR; the opposite of CAPITAL INTENSIVE.

자본집약적과 반대되는 말로 비교적으로 막대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생산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Labour market flexibility (노동시장의 유연성)

A flexible LABOUR market is one in which it is easy and inexpensive for FIRMS to vary the amount of labour they use, including by changing the hours worked by each employee and by changing the number of employees. This often means minimal REGULATION of the terms of employment (no MINIMUM WAGE, say) and weak (or no) trade UNIONS. Such flexibility is characterised by its opponents as giving firms all the power, allowing them to fire employees at a moment's notice and leaving workers feeling insecure.

유연한 노동시장은 각 직원의 노동시간 변경과 직원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여 기업이 활용하는 노동량을 쉽고, 저렴해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흔히 고용조건에 대한 최소한의 규제(최저임금 없음)와 노동조합(없음)의 약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반대자들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데, 회사가 모든 권한을 가지게 되면서 직원들은 한순간에 해고될 수 있고 직업들을 불안감에 있게 한다.

Supporters claim that it improves economic EFFICIENCY by leaving it to MARKET FORCES to decide the terms of employment. Broadly speaking, the evidence is that greater flexibility is associated with lower rates of UNEMPLOYMENT and higher GDP per head.

지지자들은 시장지배력이 고용조건을 결정하게 하여 경제 효율을 상승시킨다고 주장한다. 대체로, 큰 유연성은 낮은 실업률과 높은 인당 GDP와 관련이 있다는 증가가 있다.

 

Lagging indicators (후행지표)

Some economic statistics move weeks or months after changes in the BUSINESS CYCLE or INFLATION. They may not be a reliable guide to the current state of an economy or its future path. Contrast with LEADING INDICATORS.

일부 경제 통계는 경기순환 또는 인플레이션 변화 후 몇 주 또는 몇 달 후에 이동한다. 이들은 경제의 현재 상태와 미래 방향을 가이드하는데 좋은 지표는 아니다. 선행지표의 반대 개념이다.

 

Leading indicators (선행지표)

Also known as cyclical ­indicators, these are groups of statistics that point t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conomy and the BUSINESS CYCLE. Certain economic variables, fairly consistently, precede changes in GDP and certain others precede changes in INFLATION. In some countries, statisticians combine the various different leading indicators into an overall leading index of economic GROWTH or inflation. However, there is not necessarily an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indicators and what they are predicting, which is why, like other crystal balls, they are fallible. Contrast with LAGGING INDICATORS.

경기순환지표라고도 불리는데, 경제의 미래 방향과 경기순환을 나타내는 통계 집단이다. 일부 경제변수들은 상당히 일관되게 GDP의 변화보다 앞서도 다른 변수들은 인플레이션보다 앞선다. 몇몇 국가에서 통계학자들은 다양하고 다른 선행지표들을 경제 성장률 또는 인플레이션의 전반적인 선행지표로 통합한다. 하지만 선행지표 간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지 않음으로 그들이 예측하고자 하는 것에는 오류가 있는 것이다. 후행지표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Lender of last resort (최종대부자)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a CENTRAL BANK. When financially troubled BANKS need cash and nobody else will lend to them, a central bank may do so, perhaps with strings attached, or even by taking control of the troubled bank, closing it or finding it a new owner. This role of the central bank makes CREDIT CREATION easier by increasing confidence in the banking system and minimising the RISK of a bank run by reassuring depositors that their MONEY is safe. However, it also creates a potential MORAL HAZARD: that banks will lend more recklessly because they know they will be bailed out if things go wrong.

중앙은행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다. 재정적 문제를 겪고 있는 은행들이 현금이 필요하고 아무도 그들에게 빌려주지 않을 때, 중앙은행은 아마 조건을 붙여 빌려주거나, 은행을 장악하거나, 닫아버리거나, 새로운 소유자를 찾아줄 수 있다. 중앙은행의 이 역할은 은행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고, 예금자들의 돈이 안전하다고 안심시켜 은행의 위험을 감소시켜, 신용 창출을 더 쉽게 만든다. 하지만 도덕적 해이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은행들이 일이 잘못되면 구제금융을 받을 수 있다고 알기 때문에 더 무모하게 대출을 할 수 있다.

 

Leveraged buy-out (차입매수)

Buying a company using borrowed MONEY to pay most of the purchase PRICE. The DEBT is secured against the ASSETS of the company being acquired. The INTEREST will be paid out of the company’s future cashflow. Although some LBOs ended up with the borrower going bust, in most cases the need to meet demanding interest bills drove the new managers to run the firm more efficiently than their predecessors. For this reason, some economists see LBOs as a way of tackling AGENCY COSTS associated with corporate governance.

인수자금의 대부분을 차입금을 활용하여 회사를 합병하는 것이다. 채무는 인수되는 회사의 자산으로 담보된다. 이자는 회사의 미래 현금흐름에서 지불되게 된다. 일부 차입매수는 차입자를 파산하게 만들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요구되는 이자비용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은 새로운 매니저로 하여금 회사를 이전 매니저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경제학자들은 차입매수를 기업 지배구조와 관련된 대리인 비용을 다루는 방법으로 보고 있다.

 

Liberalisation (자유화)

A policy of promoting LIBERAL ECONOMICS by limiting the role of GOVERNMENT to the things it can do to help the market economy work efficiently. This can include PRIVATISATION and DEREGULATION.

시장경제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을 제한하는 자유경제를 추진하는 정책이다. 민영화나 규제완화를 포함한다.

 

LIBOR (리보금리)

Short f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the rate of INTEREST that top-quality BANKS charge each other for loans. As a result, it is often used by banks as a base for calculating the INTEREST RATE they charge on other loans. LIBOR is a floating rate, changing all the time.

런던 은행 간에 제공되는 금리의 줄임말로, 최상위급 은행들이 서로에게 청구하는 금리를 말한다. 결과적으로, 리보금리는 다른 대출 금리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기준 금리로 활용된다. 리보금리는 항상 변하는 유동 금리이다.

 

Liquidity preference (유동성 선호)

The proportion of their ASSETS that FIRMS and in­dividuals choose to hold in varying degrees of ­LIQUIDITY. The more cash they have, the greater is their desire for liquidity.

기업이나 개인이 다양한 수준의 유동성을 보유하기로 선택한 자산의 비율을 말한다. 현금을 많이 보유할수록 유동성에 대한 욕구는 더 커진다.

 

Liquidity trap (유동성 함정)

When MONETARY POLICY becomes impotent. Cutting the rate of INTEREST is supposed to be the escape route from economic RECESSION: boosting the MONEY SUPPLY, increasing DEMAND and thus reducing UNEMPLOYMENT. But KEYNES argued that sometimes cutting the rate of interest, even to zero, would not help. People, BANKS and FIRMS could become so RISK AVERSE that they preferred the LIQUIDITY of cash to offering CREDIT or using the credit that is on offer. In such circumstances, the economy would be trapped in recession, despite the best efforts of monetary policymakers.

통화정책이 무기력해질 때, 금리 인하가 경제 침체 탈출의 통로로 여겨진다 (현금 공급량을 늘리고 수요를 증가시켜 실직률을 감소시킴). 하지만 케인즈는 때때로 금리를 0에 가깝게 인하하여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사람, 은행, 기업이 매우 위험 회피적으로 되어서 그들은 신용을 제공받거나 제공되는 신용을 사용하기보다 현금 유동성을 선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통화 정책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침체에 갇힐 수 있다.

 

Lump of labour fallacy (노동총량의 오류)

One of the best-known fallacies in ECONOMICS is the notion that there is a fixed amount of work to be done - a lump of LABOUR - which can be shared out in different ways to create fewer or more jobs. For instance, suppose that everybody worked 10% fewer hours. FIRMS would need to hire more workers. Hey presto, UNEMPLOYMENT would shrink.

가장 널리 알려진 경제학 오류 중 하나는 해야 할 일의 양이 정해져 있다는 개념인데, 노동의 총량은 더 만들어지거나 적어지기 위해서 다른 방식으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이 10% 적은 시간을 일한다면, 기업은 더 많은 노동자들을 고용해야 하고 실업률은 줄어들 것이다.

 

Lump-sum tax (정액세)

A tax that is the same amount for everybody, regardless of INCOME or wealth. Some economists argue that this is the most efficient form of TAXATION, as it does not distort incentives and thus it has no DEADWEIGHT COST. This is because each person knows that whatever they do they will have to pay the same amount. It is also cheap to administer, as there is no complex process of measuring each person's INCOME and ASSETS in order to calculate their tax bill. However, because rich and poor people pay the same, the tax may be perceived as unfair.

소득과 재산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동일한 세금을 내는 것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것이 가장 효율적인 세금 형태라고 주장하는데 인센티브 왜곡이 없어 자중손실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뭘 하든 동일한 금액의 세금을 내야 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또한 관리하는 것도 저렴한데, 세금을 계산하기 위해 각자의 소득과 자산을 평가하는 복잡한 프로세스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이 동일한 세금을 내기 때문에 세금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인지될 수 있다.

 

Luxuries (사치품)

Goods and SERVICES that have a high ELASTICITY of DEMAND. When the PRICE of, say, a Caribbean holiday rises, the number of vacations demanded falls sharply. Likewise, demand for Caribbean holidays rises significantly as AVERAGE INCOME increases, certainly by more than demand for many NORMAL GOODS. Contrast this with necessities, such as milk or bread, which people usually demand in quite similar quantities whatever their income and whatever the price.

수요 탄력성이 높은 상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카리브해에서 보내는 휴가 비용이 증가한다면, 휴가 수요는 급락한다. 마찬가지로, 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카리브해에서의 휴가 수요는 정상재 수요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다. 소득과 상품 가격에 상관없이 사람들의 수요가 비슷한 우유나 빵과 같은 필수재와 반대되는 개념이다.